문재인 대통령, 24일 뉴욕서 트럼프와 종전선언 논의

靑 "美도 과감한 톱다운 조치 필요"

"비핵화 실현하는 제재가 돼야"
한·미FTA 개정안 서명 예정
문재인 대통령은 제73차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23일부터 27일까지 3박5일간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 취임 후 두 번째 참석하는 유엔총회는 교착상태에 빠진 미·북 간 비핵화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등 문 대통령 중재외교의 시험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8~20일 평양에서 열린 3차 남북한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연내 한반도 종전선언을 타진하는 등 비핵화협상 재개와 미·북 정상회담 조기 개최 등을 적극 중재할 뜻을 내비쳤다.문 대통령은 20일 ‘남북 정상회담 대국민보고’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구두 메시지’가 있다고 밝히면서 “북·미 대화 재개의 여건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의 조속 개최와 종전선언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의 조속 개최만 이끌어낸다면 남·북·미 정상회담과 연내 종전선언 등은 따라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미·북 정상회담 시기를 10월 중순이나 하순께로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미국 중간선거일 전이 미·북 정상회담의 적기로 판단해서다. 문 대통령은 회담 장소로 워싱턴DC를 염두에 두고 있고, 평양 정상회담에서 김정은으로부터 방미 의향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선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정문 서명식도 예정돼 있다. 문 대통령은 또 미국뿐만 아니라 유엔총회에 참석한 칠레 스페인 정상,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평양 정상회담 결과를 상세히 전하면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당부할 예정이다. 방미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유엔 대표연설이 예정돼 있다.청와대는 이번 총회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따라 유엔에서도 대북 제재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유엔 제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고, 제재를 위한 제재가 아닌 비핵화를 실현하는 제재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폐기 의향을 밝힌 것은 과거 비핵화 이야기를 했던 사람들 눈으로 볼 때는 도달하기 어려운 현실”이라며 “미국 측에서도 톱다운 방식의 과감한 조치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북한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과거보다 진전된 비핵화 의지를 밝힌 만큼 유엔을 비롯한 미국 등 국제사회가 이에 상응하는 행동을 동시에 보여야 한다는 견해를 나타낸 셈이다.

손성태/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