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금융학회가 뭐길래… 금융계 수장들 '총출동'

금융협회장부터 공기업·민간 금융사 CEO까지 대거 참석
문재인 캠프 출신 오갑수 前금감원 부원장이 학회장 맡아
윤석헌 금감원장 수년전부터 활동…취임후 참석자 늘어
금융계 최고경영자들이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글로벌금융학회 학술대회에 참석해 강연을 듣고 있다. /김순신 기자
글로벌금융학회 학술대회에 금융계 수장들이 총출동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캠프에서 금융경제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오갑수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학회장을 맡고 있는 데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꾸준히 챙기는 학회이기 때문이란 게 금융계 분석이다.

글로벌금융학회는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도약: 규제개혁 감독혁신 및 블록체인’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윤 원장을 포함한 23명의 금융계 수장들이 참석하는 등 문전성시를 이뤘다. 윤 원장이 기조연설을 했고, 손병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과 유광렬 금감원 수석부원장이 주제연설을 맡았다.이 행사에는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 김덕수 여신금융협회장,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 등 금융협회장은 물론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 문창용 자산관리공사 사장, 정완규 증권금융 사장, 문재우 금융연수원장, 민성기 한국신용정보원장, 손상호 금융연구원장, 정지석 코스콤 사장 등 공공기관과 금융공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김지완 BNK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김도진 기업은행장, 손태승 우리은행장, 박종복 SC제일은행장, 황윤철 경남은행장, 안효준 BNK금융지주 사장, 김상택 SGI서울보증 사장, 신상훈 전 신한은행장 등 금융회사를 이끄는 최고경영자(CEO)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이처럼 금융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오갑수 회장의 폭넓은 인맥 때문으로 풀이됐다. 오 회장은 금감원 퇴임 이후에도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 회장 고문과 SC제일은행 부회장직을 지냈다. 이후 국민은행 사외이사로도 활동해 금융당국과 금융공기업은 물론 민간 금융사 인사들과 두루 교류를 쌓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오 회장이 문 대통령 취임 이후 금융위원장 등으로 거론되기도 했다는 점이 유력인사들의 발길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윤 원장이 지난 수년간 이 학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것도 행사를 흥행시킨 요인으로 분석됐다. 윤 원장은 작년 9월 이 학회 심포지엄에서 토론 좌장을 맡았으며, 지난 1월 학술대회에선 기조연설을 하기도 했다. 금융계의 한 인사는 “윤 원장이 교수 시절부터 애정을 가진 학회라고 알려진 뒤 참석하는 사람이 늘었다”며 “금융계에 발이 넓고 오 회장이 문 대통령 선거 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은 뒤 학회 위상이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오 회장은 개회사에서 “4차 산업혁명 혁신 분야에서 젊은 기업들이 역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규제 개혁에 나서야 할 때”라며 “국내 신생 기업이 세계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산업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기조연설에서 “핀테크(금융기술)의 잠재 리스크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 금융 시스템에 얼마나 큰 충격으로 작용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주기적인 감독이 아니라 상시적 금융감독 체계를 구축해 핀테크 위험에 항시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