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안 양식장 '비상'… 고수온·적조 주의보 발령

연일 이어지고 있는 폭염으로 바닷물이 뜨거워지면서 경남 남해안 양식장에 비상이 걸렸다. 고수온에 적조까지 겹쳐 양식장 물고기 집단 폐사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상남도는 지난 24일을 기해 남해안 해역에 고수온과 적조 주의보가 동시에 발령됨에 따라 양식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26일 발표했다.현재 통영 곤리 해역 수온은 27.5도까지 치솟는 등 지난해와 비교해 3~4도 높다. 통상 양식 어류의 폐사 한계 수온은 27도 안팎이고 냉수성 어종인 조피볼락(우럭)은 이보다 낮은 25도 내외다. 지금과 같은 고수온 환경에 2~3일 더 노출되면 집단 폐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349㏊에 이르는 남해안 양식장에서 키우는 어류 절반가량이 고수온에 취약한 조피볼락이다. 전체 양식 어류 2억4940만 마리 중 조피볼락이 1억2177만7000마리(48.8%)로 가장 많다. 이어 돔류, 숭어, 쥐치 순이다.

남해안 수온은 최근 10년간 1~1.9도 상승해 어업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2012년 165만 마리가 죽어 18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데 이어 2016년 704만 마리(85억원), 2017년 343만 마리(37억원)가 폐사했다.적조도 비상이다. 적조주의보는 전남 고흥군~경남 남해군 해역에 내려져 점차 확산하고 있다.

도는 고수온과 적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지도 등 사전 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양식장에 면역증강제를 공급하는 한편 427건의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을 완료했다. 황토 7만t을 포함해 공공용 방제장비 18대, 민간 방제장비 686대, 황토살포 임차선박 120척을 확보해 비상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