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車업계 덮친 '고율관세 공포'… 트럼프 우군 GM마저 "美 경제 타격" 반기

日 도요타 "관세 25% 물리면
캠리 가격 1800달러 오를 것"

G2 무역전쟁 격화 '불똥'
中 40% 보복관세 엄포 놓자
테슬라, 상하이에 공장 신설
"美공장 해외이전 부추길 수도
‘트럼프발(發) 수입 자동차 관세폭탄’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세계 완성차업체가 긴장하고 있다. 도요타와 BMW 등 미국으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업체뿐만 아니라 미국 최대 완성차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도 수입차 고율 관세 부과에 반대하고 나섰다.
◆GM도 반대한 수입차 관세지난 1일 공개된 미국 연방관보에 따르면 도요타 미국법인은 미 상무부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와 부품에 최대 25% 관세를 물리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에 부정적인 의견을 전달했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캠리 부품 30%가량을 일본에서 가져오는 도요타는 “미국이 25% 관세를 부과하면 켄터키주에서 생산하는 중형 세단 캠리 가격이 1800달러(약 200만원) 가까이 올라간다”며 “고율의 관세 부과는 미국 경제와 소비자에게 해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BMW는 독일과 캐나다, 멕시코, 일본, 한국 등 자동차 수출국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시장 원칙과 경쟁’을 추구하고 있다며 미국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BMW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공장에서 3만6285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생산하는 자동차의 70% 이상을 수출해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대표적 완성차업체인 GM도 반발하고 나섰다. GM은 지난달 29일 상무부에 보낸 성명을 통해 “수입차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의 일자리를 줄이고 GM을 지금보다 더 쪼그라들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GM은 미국에 연산 180만 대 규모의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해외 공장에서도 110만 대가량을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다.

미국 자동차제조업연맹은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수입차 한 대당 소비자 부담이 평균 5800달러(약 650만원)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도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해외에서 들여오는 부품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자동차업계의 공급 체인을 무너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기업들, 미국 이탈 조짐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가 촉발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점입가경으로 치달으면서 세계 완성차업체들은 생산기지 이전을 고민하고 있다.

미국 테슬라는 중국 시장에서 판매가격을 20% 인상한 데 이어 상하이에 연산 50만 대 규모의 공장을 짓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맞서 중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40%의 보복관세를 매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미·중 무역전쟁을 계기로 상하이 공장 건설 계획을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벤츠가 속해 있는 다임러그룹에도 불똥이 튀었다. 다임러는 지난 4월 1분기 실적 발표 보고서를 통해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임러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해 중국에 판매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BMW도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 생산량을 줄이고 중국 공장의 가동률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공장 이전’이라는 부메랑이 돼 날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