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이 차등의결권 도입한 이유? 알리바바 상장 美에 빼앗긴게 너무 뼈아파서”

[RISE 2018 현장취재]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세상이 바뀌면 규제도 변해야… 정부 역할은 혁신할 수 있는 환경 만드는 것”
“정치가 혁신과 기술 발전을 이끌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자금을 직접 대주는 것도 일정 부분 필요합니다. 홍콩 정부는 기술 혁신 지원에 작년에만 780억홍콩달러(약 11조원)를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돈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겁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RISE 제공
홍콩 행정특구를 이끄는 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은 10일 홍콩컨벤션전시센터에서 열린 스타트업 콘퍼런스 ‘라이즈(RISE) 2018’에 참석해 “젊은층이 과학 연구와 발견에 집중할 수 있는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전날 홍콩 증시에 상장한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 이야기를 꺼냈다. 샤오미는 세계 여러 나라 거래소의 적극적인 ‘구애’를 뿌리치고 홍콩을 택한 바 있다. 여기엔 홍콩증권거래소가 정보기술(IT) 분야 ‘대어’를 유치할 목적으로 올해 도입한 차등의결권 제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차등의결권은 특정 주식에 많은 의결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타트업이 덩치를 키워가는 과정에서 창업자 경영권을 보장해 주는 효과가 있다.

람 장관은 “홍콩 정부는 알리바바가 미국에 상장한 2014년에 아주 큰 교훈을 얻었다”며 “알리바바가 홍콩 증시에 상장하길 바랐지만 차등의결권을 허용하지 않는 정책 탓에 뉴욕으로 가 버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홍콩 경제를 위해 상장규정을 바꿔야 한다는 판단에서 금융전문가들과 논의를 거쳐 제도를 개편했다”고 설명했다.

람 장관은 “세상은 계속 바뀌고 있다”면서 “정부의 규제도 새로운 변화에 맞춰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이드셰어링(승차공유)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규제를 손질하는 것은 물론 해외 기술 인재들이 몰려들도록 이민정책도 바꿔나가고 있다”며 홍콩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기도 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RISE 제공
홍콩은 오랫동안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 명성을 이어왔지만 IT 산업에서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세계 1위 드론업체 DJI의 사례처럼, 홍콩에서 배출된 인재가 정작 중국 선전 등으로 넘어가 창업하는 일도 많다.

람 장관은 “홍콩은 기초연구에 강하고 과학계에서 인정받는 좋은 대학도 많이 있다”며 “연구공간인 ‘사이언스 파크’의 규모를 키우고 민간과 함께 벤처캐피털 자금을 조성하는 등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낡은 산업시설을 스타트업 업무공간 등으로 전환하는 한편 인재 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살인적인 집값’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간척까지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스타트업 관련 기사는 ‘엣지’를 참조하세요 news.hankyung.com/edge
▶엣지 페이스북 페이지 facebook.com/edgestorynet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