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로 다이아몬드 거래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 추적
곡물·광물 등 원자재 거래에 확산
가상화폐와 사이버 보안에 활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이 곡물이나 광물 같은 원자재 거래에 사용되는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거래 이력을 추적하기 쉽고, 거래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프랑스 곡물 메이저 루이드레퓌스와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채굴 및 거래 업체인 드비어스 등이 원자재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을 잇달아 도입하고 있다.거래 기록의 ‘원장’을 네트워크에서 공유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사전에 정해 놓은 조건이 성립할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이뤄지도록 프로그램을 짤 수 있어 원자재 거래 등에 활용할 여지가 많다. 계약 체결과 동시에 결제도 가능해 거래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거래 상황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이 같은 기술적 이점을 고려해 루이드레퓌스는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콩 운송 거래기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이 거래에는 ABN암로와 ING, 소시에테제네랄 등 3개 금융사와 다수의 해운업체가 참여했다.

드비어스도 올 1월 글로벌 다이아몬드 유통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다이아몬드 원산지인 아프리카에서 다이아몬드 유통구조가 불투명했던 탓에 무장세력의 자금원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원산지 및 품질 인증과 관련한 불투명성이 많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브루스 클리버 드비어스 최고경영자(CEO)는 “거래 이력을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어 소비자와 구매 업체가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블록체인 기술 자체가 기록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고, 잘못된 정보라도 한 번 등록되면 수정이 불가능한 점 등은 주의해야 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덧붙였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