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게임 체인저'에 과감한 베팅"… WSJ가 주목한 손정의 회장 투자비결

작년 40개사에 370억달러 투자
기술변화의 길목 선점 잘해
세계 최대 기술기업 투자자로 떠오른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사진)의 파격적이면서 과감한 투자 비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손 회장이 잇따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옥석을 가리기 힘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중에서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벤처기업)’을 골라낼 수 있었던 배경으로 ‘시대를 바꾸는 기술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과 손잡는다’는 그의 투자원칙을 꼽았다. 한마디로 기술 변화의 길목을 선점한다는 것이다.손 회장은 틈날 때마다 “나의 목표는 소프트뱅크그룹을 300년간 지탱할 수 있는, 기술 변화를 주도할 기업에 크게 지분 투자해 그들과 연대해가는 것”이라고 말해왔다.

이 같은 발언을 뒷받침하듯 소프트뱅크는 공격적인 투자행보를 이어왔다. 시장조사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미국의 대형 통신회사 스프린트를 220억달러(약 28조5774억원)에 인수한 것을 비롯해 1995년 이후 총 1450억달러(약 155조3965억원)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최근의 투자목록에는 반도체 설계회사 ARM과 차량공유서비스 업체 우버, 사무실공유 업체 위워크 등이 올랐다. 지난해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등과 함께 920억달러(약 98조8240억원) 규모 기술투자펀드인 ‘비전펀드’를 출범시켰다. 지난 한 해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기업은 40개, 투자금액은 370억달러(약 39조6714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손 회장은 투자할 기업에 대한 확고한 전망이 서면 전광석화처럼 빠르게 투자결정을 내린다. 실내 식물공장처럼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라고 하더라도 향후 사람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라고 판단될 땐 30분 안에 2억달러(약 2144억원)를 투자할 정도다. 때로는 이사회 승인에 앞서 대규모 투자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흔히 과열된 시장이라고 여겨지는 분야에도 거액을 투입해 시장판도 자체를 바꾸는 등 거침없이 투자한다.

기술투자 전문 펀드인 프린스빌글로벌의 매트 크르나 파트너는 “손 회장이 자신의 신념에 기반해 과감한 베팅을 하면서 성공을 거둬왔다”고 평가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