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주 경쟁보다 뜨거운 '2등주 싸움'

LF vs 한섬, 현대산업 vs 대림산업, 고려아연 vs 현대제철

두산중공업 vs 두산인프라코어, 기계업종 2위 자리 다툼
내년 경기회복 확산땐 2등주 가치 부각 가능성
‘시가총액 2위’ 자리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다. ‘대장주’와의 격차는 크지만 2, 3위 간 덩치 차이는 크지 않은 업종에서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면 올해 1등주에 집중됐던 관심이 2등주로 확산될 수 있는 만큼 시가총액 2위 자리를 굳힐 종목을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치열한 2위 다툼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의류업체 LF 주가는 올 들어 48.72%(21일 종가 3만2050원) 올랐다. 이 덕분에 올해 초 6287억원이던 시가총액은 지난 20일 기준 9371억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회사인 한섬 주가는 10.19% 떨어졌다. 시가총액도 8436억원에서 7000억원대로 줄면서 업종 내 시가총액 2위 자리를 LF에 내줬다. 섬유·의복업종 대장주는 한세실업(시가총액 1조1640억원)이다.

하지만 4분기 성적표에 따라 순위는 다시 뒤집어질 수 있다. 어느 회사가 올겨울 한파와 롱패딩 열풍의 수혜를 더 많이 볼 것인지가 관건이다. 김은지 KB증권 연구원은 “한섬 주가가 부진한 건 기존 브랜드의 외형 성장이 둔화된 데다 인수합병(M&A)에 따른 수익성 악화 때문”이라며 “신규 브랜드가 선전하고 있고 온라인 및 해외 매출이 늘면서 올 4분기를 기점으로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건설업종에서는 현대산업개발(2조9777억원)과 대림산업(2조8606억원)이 2위 자리를 두고 다투고 있다. 연초 3조원대이던 시가총액이 나란히 하락하면서 두 종목의 시가총액 차이가 4000억원대에서 1000억원 안팎으로 줄었다. 두 회사 모두 지주회사 전환 등 지배구조 개편 이슈가 있어 향후 주가 방향에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건설업종 시가총액 1위는 현대건설(3조9531억원)이다.

기계업종에서는 같은 두산 그룹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1조8303억원)와 두산중공업(1조7034억원)이 경쟁자다. 원자력 비중을 낮추겠다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올해 두산중공업 주가가 크게 흔들리면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굴삭기 시장 회복의 기운을 받은 두산인프라코어에 밀렸다.

◆지수 반등기 2등주 부각전문가들은 연말 지수 조정이 끝나고 내년 재반등 시기가 오면 2등주의 가치가 더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재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경기 개선의 온기가 확산되면 업종 내 1등주에서 2등주로 주가 강세가 확산되는 낙수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1등주와 비교해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처지지 않는다면 시가총액이 작아 주가가 호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도 2등주의 강점이다. 이런 2등주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따져봐야 한다. 섬유·의복업종에서 2위 수성에 나선 LF(0.87배), 탈환을 노리는 한섬(0.85배)은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주당순자산)이 1배가 안 된다. 3년 전만 해도 7조6000억원대 시가총액으로 고려아연(9조2463억원)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현대제철(7조7788억원)도 PBR이 0.48배에 불과하다.

염동찬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주가 반등 초기에는 대장주에 관심이 쏠리지만 이후 6개월 정도 시간을 두고 보면 2위 기업의 상승률이 더 큰 경우가 많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