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진주 '세라믹 지방비 갈등' 풀렸다

수송시스템용 기반구축 사업
사업비 분담 비율 합의
경상남도와 진주시가 지방비 분담 비율을 놓고 갈등을 빚은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 사업’이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

도는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과 이창희 진주시장, 강석중 한국세라믹기술원장이 간담회를 열어 문제가 된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7일 발표했다.도와 진주시는 이 사업과 관련해 국비를 더 확보하고 지방비 분담 문제도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한국세라믹기술원도 도와 진주시가 분담할 지방비 중 10억원을 추가 부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역 산업 거점기관 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 사업’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290억원(국비 100억원, 지방비 180억원, 민간 10억원)을 투입해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등 수송시스템에 사용되는 세라믹섬유를 연구하고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혁신도시인 진주시 충무공동 한국세라믹기술원 내에 세라믹융복합재센터를 건립하고 14종의 시험장비와 전문인력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그동안 도와 진주시는 지방비 180억원에 대한 분담 문제를 놓고 대립하면서 후속 작업이 지연됐다. 도는 5 대 5 분담안을 제시한 반면 진주시는 부지 비용(39억원 상당) 외 추가 부담을 반대했다.도 관계자는 “세라믹산업은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 소재 부품산업으로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해 한국세라믹기술원 본원이 있는 경남이 선도해야 한다는 대원칙에는 이견이 없다”며 “도와 시, 한국세라믹기술원이 뜻을 모아 정상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