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투자 유망기업] 인터넷 이용자 갈수록 증가…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의 SKT'로 성장

(5) 텔레코뮤니카시

시총 2위…주가 3년새 95%↑
점유율 50%…고배당 인기
인도네시아정부가 최대주주
인도네시아 1위 통신기업인 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Telekomunikasi Indonesia)는 1856년 네덜란드 식민 정부가 세운 전신(電信) 서비스 회사가 모태다. 1995년 이후 민영화 절차를 밟으며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최대주주는 인도네시아 정부다. 지분 51.2%를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일반적인 통신주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다. 국가 기간산업인 데다 이 회사를 포함한 과점 기업 몇 곳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작년 말 현재 47%대. 내수 의존도는 높지만 경기 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는 대표적인 경기방어주다.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는 성장성까지 갖췄다. 지난해 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 매출은 102조4700억루피아(약 8조6690억원)로 전년보다 14.2% 증가했다. 영업 이익은 11.1% 늘어난 31조4640억 루피아를 기록했다.

이 회사의 성장엔진은 인터넷 사업 분야다. 데이터·인터넷·정보기술(IT)서비스사업부 매출(32조7000억루피아)이 작년 37.5% 증가하면서 성장을 이끌었다. 급속히 증가하는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이용자가 든든한 배경이다. 2010년만 해도 4200만명이던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지난해 1억5000만명(NH투자증권 추정치)까지 늘었다. 전체 인구 2억6000만명의 57.7%가량이다.

사업 성장이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 지난 2일 기준 주가(종가)는 4200루피아(약 354원). 2013년 9월2일 이후 3년 동안 95.3% 올랐다. 1년 전 2775루피아였던 주가가 4200루피아로 올랐을 만큼 최근 상승세가 더 가파르다. 시가총액은 423조3600억루피아(약 35조6692억원)로 인도네시아 거래소에 상장된 528개 종목 중 두 번째로 많다.이 회사는 국영기업 특성상 정부 지원 하에 꾸준히 기업가치를 키워왔다. 정부가 최대주주라는 점은 무시 못할 강점이다. 더욱이 성장 여력이 남아있다는 점이 투자처로서 매력을 더한다는 평가다. 증시 전문가들은 60%가 채 안 되는 현지 인터넷 이용률이 더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의 인터넷 이용률이 94%까지 올라올 동안 1위 통신기업 SK텔레콤이 성장한 것처럼 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도 수혜를 볼 전망이다. 장재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과 비교하면 인도네시아 인터넷 이용률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며 “앞으로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과 함께 통신 수요가 크게 늘면서 텔레코뮤니카시 인도네시아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높은 배당성향(69.1%)을 유지하고 있어 배당주로서의 매력도 충분하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