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포커스]SKC·코오롱인더, 자회사 상장 덕분에 '방긋'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가가 각각 4거래일, 7거래일 만에 반등에 나섰다.

50%씩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합작법인 SKC코오롱PI의 상장이 석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이 지분법적용 자회사는 지난달 29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 예비심사와 공모절차를 거쳐 이르면 12월 상장할 예정이다.

SKC는 2일 오전 전날대비 1.17% 오른 3만4500원을 기록하며 나흘 만에 반등에 나섰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오전 9시43분 현재 0.85% 오른 5만9200원을 기록, 지난달 22일 이후 7거래일 만에 반등을 시도 중이다.

SKC코오롱PI가 상장될 경우 최소 710억 원에서 최대 1065억 원 가량 현금이 유입,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다.SKC코오롱PI는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50대 50으로 합작해 설립한 곳으로, 폴리마이드(polyimide) 필름 전문 생산업체다. 이 필름은 LCD·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연성회로기판(FPCB)의 주재료다.

SKC코오롱PI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약 15%로, 일본 기업들에 이어 시장점유율 3위다.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37억 원과 395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29.5%에 이른다.

현대증권 백영찬 연구위원은 "공모가격과 구주매출 규모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상장 예정주식 수(약 2840만주)의 50% 구주 매출을 가정하면 대략 710~1065억 원의 현금유입이 가능하다"면서 올 상반기에도 20% 후반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한데다 PI 필름 기술력을 감안하면 공모가격은 주가수익비율(PER) 10배 이상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SKC의 3분기 영업이익은 판매량 증가와 연결 자회사 실적 호전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고,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경우에도 화학부문 증설효과와 일회성 비용 소멸 등으로 전년보다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