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社1병영] 김형태 한남대 총장, '조직관리 달인' 훈련소장 모시며 '총장學' 배워

부모·스승 못지않은 軍지휘관…지금도 수시로 문안전화 드려
총장 맡고 '軍師父一體' 캠페인

남자들은 모였다 하면 군대 얘기가 제일 재밌는 대화 소재다. 전방에서 고생이 심했으면 더욱 인기를 끈다. 약간의 무용담을 곁들이면 그야말로 일품이다. 나는 군 생활을 통해 국가관을 세웠다고 자부한다. 요즘 ‘군사부일체(軍師父一體) 운동’의 전도사가 되었다. 낳아주신 부모님, 가르쳐주신 은사님, 그리고 군에서 모셨던 지휘관(중대장 대대장 연대장 사단장 등)을 동일 항렬에 놓고 ‘종신제’로 존경하자는 국민운동을 펼치게 된 것이다.

나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총장학(總長學)을 배운 바 없다. 그러나 한남대에서 14대 총장에 이어 15대에 연임하여 5년째 총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총장업무를 군 생활에서 배운 대로 하니까 성공적으로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1970년 5월 입대해 육군 훈련소 29연대에서 기본훈련을, 27연대에서 후반기 교육(57㎜ 무반동총)을 받았다. 그 후 훈련소 본부중대에 배치돼 정봉욱 소장님 비서실에서 근무하며 교육자료 제작을 맡았다. 그때 정 소장님의 부대운영을 보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현재 86세의 정 소장님께 수시로 전화 문안을 드리며 ‘종신 부하사병’으로서의 도리를 다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정 소장님은 훈련병 제일주의를 천명했다. “훈련병은 아직 완성된 군인이 아니다. 군인으로 되어가는 과정에 있으니 기합이나 처벌 대신 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적군과 육박전이 벌어졌을 때 대한민국과 민주군대가 더 좋다는 확신이 있어야 목숨 걸고 싸우지, 아군이나 적군이나 비슷하다면 왜 목숨 걸고 조국을 지키겠는가”라고 가르쳤다.

훈련을 마치고 기성부대로 배출시킬 때 정직하고 부정이 개입하지 못하게 여러 방안을 도입했다. 신학생들을 뽑아 예비 성직자의 양심을 걸고 정직하게 분류토록 했고 어떤 때는 소장님이 직접 맡아 비서실 사병들이 일일이 대조 확인케 할 때도 있었다.

훈련병들이 여름철 밤에 모기에 뜯겨 숙면을 못한다는 민원을 듣고 부대운영비를 절약, 훈련소 전 생활관에 모기장을 마련해주신 일도 있다. 잔반과 교환해 받은 돼지를 길러 연대별로 매월 훈련병의 생일잔치를 해주고 급양대에서 열무김치 재료를 인수하면 덩굴 속 대나무 밭 위에 펼쳐 물을 뿌려둠으로써 신선도 유지와 영양손실 제로운동을 지시하기도 했다. 자상하실 땐 아버지 같고 엄하실 때는 무릎이 후들후들 떨리게 하는 냉온탕 사기 관리를 하셨다. 1973년 3월 병장으로 제대할 때까지 35개월 정도의 군 생활이 나에겐 대학원 교육 이상의 교육 경험이었다. 현재 그런 군 경험을 토대로 한남대 캠퍼스에 유엔기념공원을 조성, 6·25 참전국과 의료지원국 국기를 연중 게양하고 있고, 참전국 유학생들에게 유엔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매년 호국보훈의 달이 시작되는 6월1일엔 교수 직원 학생간부 및 ROTC 후보생들이 대전 현충원을 공식 참배한 후 사병 묘역과 장교 묘역 대청소를 하고 있다.

국방과 외교엔 여와 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민군관학이 혼연일체가 되어야 한다. ‘국가가 있어야 야구도 할 수 있다’는 원로 감독의 말처럼 국방이 완전해야 교육도 있고 기업도 할 수 있는 것이기에 나는 일평생 군 존경 운동인 ‘군사부일체 운동’에 헌신하고자 한다. 오늘 하루도 군 생활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로 신나게 살고 싶다. 군 생활을 무사히 마쳤다면 그의 건강과 국가관은 믿어도 된다.

김형태 <한남대 총장>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