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기지개 켜나] 백화점.외식업소 "손님들 돌아오는것 같은데‥"

연초부터 이어지고 있는 증권시장의 상승 대세가 깊은 겨울잠에 빠져있던 내수경기에 일부나마 회복조짐을 이끌어내고 있다. 회복조짐을 가장 실감케 하는 곳은 그동안 실물경기 침체의 한파를 온몸으로 겪어온 벤처.중소기업계. 정부의 강력한 활성화대책에 힘입어 M&A(인수.합병)시장이 꿈틀대고 있고,벤처투자를 타진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내수경기를 홀로 떠받치다시피 해온 IT(정보기술)업계도 DMB(위성멀티미디어 방송)와 소노마 등 잇단 신기술 효과로 활황이 지속될 전망이다. 외식업소와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계에서도 소폭 매출 증가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체감경기는 아직도 '한겨울'을 벗어났다고 보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진단이다. 부동산시장은 강남 일부의 재건축대상 아파트를 빼고는 좀체 매기가 살아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자동차와 가전 등 대부분 내구소비재 시장도 내수 부진의 늪에 빠져있고,삼겹살집 횟집 PC방 등 서민형 영세자영업소들은 "언제 겨울이 끝나겠느냐"며 한숨이 여전하다. ○백화점·할인점,'이제는 희망이…' 대형 유통업체들은 올들어 강추위가 지속되면서 쌓여있던 의류 패션잡화 등 겨울상품이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어 고무된 분위기다. 백화점들은 신년세일(7∼23일)기간이어서 실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져 잔뜩 부풀어 있다. 롯데백화점 본점 김세완 영업총괄팀장은 "날씨 영향이기는 하지만 확실히 작년 11월,12월보다 올 1월 실적이 나아지고 있다"며 "불확실한 미래와 부동산 침체 등으로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가 조금씩 기지개를 켜는 게 아닌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백화점 업계는 재작년과 작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는데 올해는 1월부터 플러스 성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롯데백화점은 신년세일 매출이 작년 세일에 비해 10% 이상 신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세계 강남점의 신사정장 브랜드 '갤럭시' 직원은 "강추위 덕분에 겨울 코트류와 정장류를 다 팔 수 있었다"며 "추가로 본사에 주문을 해도 상품을 구하기 힘들 정도"라며 살아나는 매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마트 이인균 마케팅 실장은 "할인점에서도 의류 난방용품 등의 매기가 살아나고 점포를 찾는 고객수도 늘어나면서 매출도 작년 대비 10% 이상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경기가 바닥을 찍고 상승하는 신호로 해석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외식업계,'더 나빠질 것 없다' 외식 프랜차이즈업체인 토니로마스의 박묘진 여의도점장은 "증시가 회복세를 탄 덕분인지 단체고객들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며 "작년과 비교할 때 올해는 출발이 꽤나 좋은 편"이라고 밝혔다. 빕스 강남점의 구현정 점장은 "올들어 하루평균 고객이 작년 이맘때에 비해 50명 정도 늘어났다"며 "예상외의 매출호조가 계속되고 있어 올해 매출 목표를 작년보다 10∼20% 늘려잡았다"고 말했다. ○자영업소,'회복은 무슨…갈수록 더 춥다' 삼겹살집이나 횟집 등 외식업은 물론이고 주택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치킨집과 PC서비스방 등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한겨울 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패션아울렛 매장이 몰려있는 서울 구로공단5거리 인근에서 삼겹살집 '돈씨네'를 운영하고 있는 김종서 사장은 "지난해 12월에는 하루평균 매출 1백50만원은 꼬박꼬박 올렸는데 이달들어서는 1백만원선으로 뚝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인근 중소기업이나 아울렛 매장 직원들이 90%나 되는데 회사가 올해 예산을 긴축해 회식을 자주 갖기가 어려운 것 같다"고 덧붙였다. 공장이나 기업체 사무실이 몰린 곳의 음식점들 사정은 비슷하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강구미주구리' 횟집 윤재환 사장은 "지난해 12월과 이달을 비교하면 약 10% 매출이 준 것 같다"며 "회사 직원들이 단체로 저녁을 먹은 뒤 법인카드로 계산할 때 한도액을 넘으면 안된다면서 개인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생활경제부.벤처중기부 종합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