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선전...신용금고 적자일색 .. '6월결산 상장법인 실적'

6월 결산 상장법인의 실적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줄어들고 순이익이 적자로 전환된 기업이 많았다. 그러나 시장 기반을 단단하게 굳힌 우량 내수기업은 불황 속에서도 매출과 순이익을 늘려가는 등 기업별 명암이 심했다. 3일 증권거래소는 6월 결산법인 32개사중 주총미개최 및 결산기변경,감사의견 거절업체 등 11개사를 제외한 21개사의 2000사업연도(2000년 7월1일~2001년 6월30일)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4조2천6백25억원)은 전기보다 5.84% 줄고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됐다고 밝혔다. 15개 제조업체의 당기순이익(6백6억원)은 전기보다 70.18% 줄었다. 그러나 워크아웃 기업인 신호제지의 적자(1천2백15억원)를 제외하면 순이익이 7.4%(1백28억원) 증가했다. 꾸준한 구조조정과 내수 및 수출회복,제품값 인상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삼양중기는 매출액 증가율(46.88%) 1위로 외형 성장이 돋보였지만 적자가 지속됐다. 회사측은 "기계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지 않아 저가 수주 등 업체간 출혈경쟁을 벌이다 보니 수익성이 악화됐다"고 자체 분석했다. 이 회사는 부채비율이 18.1%이지만 과거 정책자금으로 받은 자금중 남은 금액이 5천8백만원에 불과해 사실상 차입금이 없는 상태다. 자동차부품 업체인 세원정공은 자동차 산업 호조에 힘입어 매출과 순이익이 15.33%와 21.15% 늘어나는 호조를 보였다. 또 내의 생산업체 비비안도 매출과 순이익이 4.49%와 11.40%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과거 60%에 달했던 도매시장 납품 비중을 10%대로 줄이고 마진이 높은 할인점과 백화점에 대한 납품비중을 줄이는 등 고가전략을 펼친 게 주효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9월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20%가량 늘어나는 등 최근 악화되는 경기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풍제지는 원재료인 고지가격 하락으로 원가비용이 줄어 순이익이 7% 이상 늘었다. 대표적 경기방어주인 농심도 강력한 시장지배력과 라면 가격인상 등으로 순이익이 5% 가까이 늘었다. 특히 부채비율이 69.3%로 전기보다 42.77%포인트 감소했다. 신호유화는 출자전환 및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장기차입금 감소로 이자비용 감소하고 순이익이 늘어나 흑자전환됐다. 반면 대양·진흥·골드·코미트·제일 등 신용금고 업체들은 적자를 지속하거나 적자전환돼 대조를 이뤘다. 제조업체중 남한제지 신호제지 삼립정공 등도 적자전환됐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