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반(反)대한민국 사관’ ‘좌편향’ 등으로 규정하며 현행 검인정 체제를 국정 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중·고교 국사교과서 발행 체제 개편을 추진 중인 정부를 측면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여 지도부, 한국사 교과서 비판…김무성 "기업가 정신 거세된 학생 만든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7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중·고교 역사교과서가 일관되게 우리 역사를 부정하는 반대한민국 사관으로 쓰여 있다”며 “좌파적 세계관에 입각해 학생들에게 민중혁명을 가르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산업화 성공을 자본가의 착취로 가르쳐 기업가 정신이 거세된 학생을 키우고 있다”며 “모든 문제를 사회 탓, 국가 탓으로 돌리는 시민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좌편향 서술의 구체적 사례를 들었다. 그는 “비상교육 교과서에 ‘주체사상은 북한 실정에 맞춰 주체적으로 수립한 사회주의 사상이다’는 표현이 있는데 이것은 주체사상을 정당화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두산동아 교과서에 ‘우리식 사회주의를 내세우다’는 소제목이 있는데 이것은 종북세력이 쓰는 표현을 옮겨놓은 듯하다”고 말했다.

김을동 최고위원은 “독립운동사에서 한국광복군의 활동이 축소돼 있다”며 “새마을운동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만 부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역사교과서가 편향된 소수 집필진의 전유물이 되고 있다”며 “다양성을 살리자는 검인정 체제의 목적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군 장병 60%가 미국을 주적으로 지목하고 6·25전쟁을 북침으로 알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며 “역사 교육을 바로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야당은 국정 체제 전환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방향으로 역사교과서를 서술하려는 시도라고 반발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거의 없다”며 “교과서에 문제가 있다면 검인정 체제를 개선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