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디스플레이 업계 쌍두마차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최고경영자(CEO)들의 공통된 고민은 ‘시장’이었다.

LCD 공급과잉 지속…가격 하락…디스플레이 맞수, 삼성-LGD의 고민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사장과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2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서울호텔에서 열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정기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사업전략을 밝혔다. 박 사장은 “LCD(액정표시장치) 패널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공급 과잉이 계속되고 있다”며 “올해 (월드컵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많은 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차세대 OLED TV용 패널 판매량을 늘릴 것이냐는 질문에는 “LCD TV가 워낙 싸고 좋게 잘 나오고 있다”며 “(고객사인) 삼성전자에서도 당장 패널 공급량을 늘려달라는 요구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충남 아산의 OLED 패널 생산라인인 A3 투자에 대해선 “상반기 중 투자액을 결정할 방침”이라며 “투자 규모는 고객사들이 얼마나 OLED 패널을 원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 사장은 스마트폰용 ‘플라스틱 OLED’ 신규 투자와 관련해 “시장 수요 등을 고려해 투자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 투자할지와 만약 투자한다면 기판사이즈를 4.5세대, 5.5세대 중 어떤 걸로 할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LG디스플레이는 작년 LG전자 스마트폰 G플렉스용으로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의 OLED를 경기 파주 공장에서 양산하기 시작했다.

이날 정기총회에선 박 사장이 제5대 디스플레이산업협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1년이다. 박 사장은 취임사에서 “최근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공급 과잉, 가격 하락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중국의 추격과 일본의 견제로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