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실각 가능성을 두고 안보부처 내 엇박자가 이어지고 있다. 국가정보원의 발표 이후 통일부와 국방부가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사전에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정황도 드러났다.

유재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5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최근 장성택 핵심 측근 세력의 처형은 김정은 유일체제 구축을 위한 권력 조정 과정에서 일어난 중대한 사건”이라면서도 장성택의 실각 여부에 대해선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놨다.

통일부 당국자도 기자들과 만나 “(실각설이) 이후 추가로 확인된 것은 없다”며 “누가 소환됐거나 조사받거나 조치가 된 그런 부분은 아직 확인된 게 없다”고 말했다.

국정원이 지난 3일 국회 보고와 보도자료를 통해 “장성택의 핵심 측근 2명에 대한 공개처형 사실이 확인됐다”며 “장성택도 실각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것으로 보인다. 연계인물들에 대해서도 후속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한 것과는 차이를 보인 것이다.

특히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국정원의 발표 사실을 알았느냐는 질문에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협의를 하지만, 발표는 사전에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안보부처 내에서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정원이 설익은 정보를 내보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백군기 민주당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당 고위정책-약속살리기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실각 가능성 발표에 마치 북한이 급변할 것처럼 온 나라가 들썩였지만, 국방부 장관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냈고 통일부 장관은 신변에 이상이 없다는 의견을 냈다”며 “누구 장단에 맞춰야 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