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척추질환을 앓는 젊은층이 늘고 있다. 척추질환은 어느정도 나이가 있는 어른에게서 발생하는 증상이라고 여겨져 왔지만 청소년들의 올바르지 못한 자세와 과도한 전자기기 사용으로 최근에는 척추질환을 앓는 젊은층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성장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기 쉬운 척추질환으로 척추측만증이 대표적이다.

척추측만증은 뒤에서 봤을 때 일자로 곧게 뻗어 있어야 하는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 C자형이나 S자형으로 변형된 질환을 말한다. 척추가 휘어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봤을 때 양 어깨나 골반의 높이가 달라져 보인다. 초기를 지나면 대부분 척추가 휘어진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은 선천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원인이 확실치 않은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많다. 평소 좋지 않은 생활습관이나 자세가 문제가 된다.

신정호 희명병원 신경외과 진료과장은 “다른 척추질환과 달리 척추측만증은 청소년기에 주로 발생한다. 성장이 끝나면 질환의 진행도 함께 멈추게 된다”며 “하지만 척추측만증이 있는 상태로 성장기를 보내면 휘어진 척추가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성장이 끝나면서 척추 역시 휜 채로 굳어버리기 때문에 질환을 방치할수록 치료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척추측만증이 있다면 되도록 초기에, 늦더라도 성장이 끝나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초기에 척추측만증을 발견하는 경우나 심하지 않은 척추측만증을 치료할 때에는 보조기 착용을 통해서 치료할 수 있다. 휘어진 뼈를 밀어 정상적인 위치에 설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보조기를 통해 치료를 하게 되면 청소년들의 정상적인 성장을 도울 수 있어 학생환자들에게 많이 시행되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보조기 착용 역시 성장이 끝나 뼈가 굳은 환자들에게는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성인환자들이나 척추 변형이 심한 경우 또는 척추측만증으로 인해 통증과 장애를 겪는 경우에는 척추고정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법을 활용한다.

척추측만증 역시 심해지면 수술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척추측만증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이거나 척추측만증이 있는 학생이라면 주기적으로 병원에 방문, 정기검진을 통해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가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