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내시경 봉합술 효과적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사는 최모씨(38)는 가을 단풍이 절정이라는 소식을 듣고 지난 주말을 이용해 친구들과 강원도 인근 산을 찾았다. 이름이 유명한 산들은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일부러 인적이 드문 산을 택해 등산을 했다. 인적이 드문 산이어서 길이 매우 험준했는데, 등산을 하던 중 최씨가 그만 발을 헛디뎌 넘어지고 말았다. 그런데 넘어지면서 무릎이 먼저 땅에 닿으면서 부상을 입게 됐다. 급히 병원을 찾은 최씨는 반월상연골판이 심하게 파열되었다는 진단을 받게 됐고 즉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스포츠활동이나 야외활동 중에 외상으로 인해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무릎관절은 다른 관절에 비해 다양한 활동을 할 때, 쉽게 손상이 될 수 있다. 노출이 되어 있는 부위로 가벼운 부상도 관절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은 허벅지 뼈와 종아리 뼈 사이에 위치해 충격을 흡수하고 무릎관절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관이다. 생긴 모양이 반달 모양이기 때문에 반월상연골판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1개씩 각각 위치해있다.

반월상연골판은 각종 스포츠활동으로 인한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 40대 중반이 넘어서면 연골판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연골판이 약해지고 가벼운 접촉에도 쉽게 찢어져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연골판에 무리가 가는 동작을 취하면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연골판 파열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 무릎을 움직이는 것 만으로도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무릎관절이 심하게 붓고 무릎관절을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느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게 된다.

김정민 희명병원 정형외과 진료부장은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서둘러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경우 손상 정도가 경미하다면 압박붕대나 소염제 등을 이용한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지만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 수술적인 요법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하는데,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이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반월상연골판의 수술적인 요법인 봉합술은 찢어지고 손상된 연골판을 관절내시경을 이용, 직접 봉합하는 방법이다. 연골판의 손상 정도를 파악해 상태에 맞게 수술이 진행된다. 무릎관절은 각종 부상으로부터 쉽게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평소 주의해야 한다. 스포츠활동이나 야외활동을 하게 되는 경우 이 점을 인지하고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반월상연골판 파열 증상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