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오는 2분기(4~6월)부터 새로운 거래 증권사 선정기준을 마련해 시행한다. 그러나 1분기(1~3월)엔 55개 전체 증권사를 대상으로 주문을 똑같이 나눠 주기로 해 증권사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3일 "국회 감사원 등에서 거래 증권사 선정기준의 공정성에 대한 지적이 나옴에 따라 새 기준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달 29일 서울 논현동 국민연금강남회관에서 1분기 거래 증권사 선정 설명회를 갖고 선정기준과 관련해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국민연금은 이 자리에서 55개 전체 증권사를 1분기 거래 증권사로 발표했다. 그동안 기금운용 기여도에 따라 S · A · B · C등급으로 구분해 등급별로 증권사 당 주문비율을 5%,4%,2%,1%로 차등하던 기존 안을 백지화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감사원과 국회의 지적을 받았는데 기존 선정기준을 적용해 선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거래 증권사 선정과 관련해 '전관예우' 지적을 받았고,지난해 9월부터 12월14일까지 기금운용 전반에 관한 감사원 감사를 받기도 했다.

국민연금은 55개 증권사 법인영업부 관계자들이 1 · 2 · 3월이 적힌 제비를 뽑아 해당 월은 주문을 주지 않고 나머지 두 달은 똑같이 안분해 주기로 했다. 1월에는 종합증권사 28개사,온라인 증권사 9개사 등 37개사가 주문을 받는 대신 18개사는 제외된다. 2,3월은 각각 27개 종합증권사와 온라인 증권사 10개사에 주문이 배정된다.

또 위탁운용사 주문까지 증권사 배정 비율을 지시해 온 국민연금은 1분기에는 위탁 운용사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그 대신 특정 증권사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을 막기 위해 한 증권사의 주문배정 비율이 10%를 넘지 않도록 했다.

1분기 주문 배정방식에 대해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운용 기여도와 리서치 · 법인영업 조직 운용비용은 무시한 채 똑같이 준다는 것은 포퓰리즘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이번 방식도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시적인 조치"라며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수렴해 새 기준을 마련하는 데 3개월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명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