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매년 1만건 이상의 우수 전자책 제작을 지원한다. 또 기존 출판사들이 직접 전자책을 만들 수 있도록 전자출판 통합 솔루션을 연내에 개발해 보급하고 수도권의 중기업 규모 출판사에 법인세 10% 감면 혜택도 준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난해 1300억원 정도였던 전자책 시장 규모를 7000억원대 이상으로 키우기로 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전자출판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향후 5년 동안 국고 600억원을 투입해 전자출판 산업 기반 구축과 콘텐츠 창작 · 보급,전자출판 유통시스템 선진화와 기술혁신 · 표준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우선 신간과 베스트셀러 등 우수 콘텐츠의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출판 콘텐츠의 창작 · 공급기반 확충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 중인 전자책 콘텐츠는 30만종 안팎이지만 여러 유통업체들이 만든 중복 콘텐츠를 제외하면 5만~6만종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나마 유통 중인 콘텐츠의 대부분은 신간이나 베스트셀러보다는 출간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비인기 콘텐츠여서 독자들이 전자책을 외면하는 요인으로 꼽혀 왔다.

따라서 정부는 문화부가 매년 지정하는 700여종의 교양 · 학술 우수도서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선정 도서,한국문학번역원이 선정한 번역 대상 도서 등의 전자책 제작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연간 3000여종,총 1만5000여종은 저작권이 소멸된 콘텐츠의 전자책 제작을 지원,저작권위원회 자유이용사이트나 앱스토어 등을 통해 무료로 공급할 방침이다.

또 1인 출판사와 영세 출판사,디지털 작가 등을 위해 한국전자출판 내 공동제작센터를 활용한 전자책 제작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1인 창조기업 지원대상에 전자책 분야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1개 과제당 2000만~4000만원씩 들여 콘텐츠 제작 · 홍보마케팅 · 컨설팅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디지털 신인작가상' 제정 등을 통한 저자 발굴과 함께 전자출판 전문인력 1000여명도 양성하기로 했다.

전자책 보급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2014년까지 24만여건의 전자책을 확보하고 전국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전자책 구입도 크게 늘릴 계획이다.

또한 포맷이나 디지털저작권관리(DRM),메타데이터 등의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아 중복투자와 소비자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내에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내년까지 전자책 서지정보(메타데이터)와 DRM 표준화를 완료할 방침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