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개발재료로 관심을 끌었던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과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주민들의 희비가 지역에 따라 엇갈리고 있다.

서울시가 코레일과 함께 용산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개발을 추진 중인 용산구 서부이촌동의 경우 최근 시와 용산구가 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개발 대상지역을 확정하고 이곳을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하는 안을 마련,주민공람에 들어가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반면 상업용지로의 용도변경이 꾸준히 추진됐던 잠실주공5단지는 승인권자인 서울시의 집요한 반대에 부딪친 송파구가 결국 용도변경 추진을 포기하기로 내부방침을 확정했다.


◆연계개발 대상지 확정된 서부이촌동

28일 서울시와 용산구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서부이촌동 일대 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개발 대상지역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이곳을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하는 안을 마련,주민공람에 들어갔다.

공람에 따르면 국제업무지구와의 연계개발지역으로 정해진 구역은 용산구 이촌동 212의 2 일대 10만5108.5㎡(3만1800여평)로 한강철교를 기준으로 서쪽지역에 한정된다.

용산구 관계자는 "이곳은 국제업무지구와의 본격적인 연계개발에 앞서 앞으로 주민공람,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고시되면 고시일로부터 3년간 개발행위가 일절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같은 서부이촌동 권역에 포함돼 있지만 한강철교를 기준으로 동쪽에 위치한 동아그린,현대한강,강변아파트 등 아파트 밀집 구역은 연계개발 대상에서 제외됐다.

서울시 도시관리과 관계자는 "강변아파트를 제외한 상당수 아파트는 1990년대 후반 준공돼 재건축 연한이 안 되는 데다 구역을 무리하게 확대할 경우 수용 등을 통한 조속한 사업 추진이 어려워진다"며 제외배경을 밝혔다.

이 지역 K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개발대상에서 제외된 한강철교 동쪽 아파트 밀집지역의 경우 '괜히 국제업무지구에 포함됐다가 재건축 추진일정만 늦어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견해와 '서부이촌동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이번 기회에 함께 구역지정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리고 있다"고 전했다.

◆송파대로 일대 용도변경 포기한 송파구

개발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는 용산구와 달리 송파구는 송파대로 주변의 일반주거지역 또는 준주거지역 30만평을 상업용지로 용도변경하는 방안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내부방침을 확정했다. 송파구가 2005년 상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던 송파대로 주변 용도변경 건은 승인권자인 서울시가 그동안 꾸준히 반대 입장을 피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일대 부동산 시장에 재료로 작용하면서 집값을 자극해왔다. 송파구 관계자는 "시의 '불허' 입장이 워낙 강해 용도변경 요구를 더이상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이 이뤄지면 이 지역에 포함돼 있는 잠실주공5단지의 경우 용적률이 현재 230%에서 800%로 늘어나 최고 60층 높이의 주상복합으로 재건축이 가능해져 막대한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김우기 잠실5단지 재건축추진위원장은"한때 고려했던 상업지역으로의 용도변경을 추진하지 않고 현재 상태에서 재건축을 추진키로 결정했다"고 확인했다.

송파구가 송파대로 주변에 대한 용도변경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잠실주공5단지 등 이 일대 부동산 시장의 가격 급등현상이 다소 진정될 전망이다.

송종현/이호기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