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근영의 블록체인 알쓸신잡] 망치와 못
서양 속담에 “어린아이에게 망치를 쥐어주면 모든 게 못으로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가치 있는 전문성을 지닌 사람은 그 전문성을 활용할 곳을 찾고 싶어 한다는 뜻이다.

배운 게 있으니 써먹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모든 문제를 수학 풀 듯 정답이 나와야 직성이 풀리며, 의사는 예방의학으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는 질병도 투약이나 수술을 하고 싶어 한다.

이렇게 훌륭한 지식은 해결책을 찾는 전문가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여러 해법이 모두 그 나름대로 특정 문제를 훌륭히 해결할 수 있겠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은 없다.

따라서 세계를 다양한 시각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팩트풀니스 / 한스 로슬링저 P273에서)

한스 로슬링박사는 망치와 못을 사례를 들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과 경험에 의한 ‘단일 관점 본능’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즉,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형성된 가치관을 기준으로 세상의 모든 일을 옳고 그름, 적과 아군, 반대와 찬성으로 획일적으로 구분하는 성향을 ‘단일 관점 본능’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세상의 모든 사안을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해법이 있으며 모두가 그 나름 특정 문제를 훌륭히 해결할 수 있겠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없다고 설파한다.

필자는 로슬링 박사의 이런 시각을 조국 법무부장관을 바라보는 여야는 물론 온 국민 전체에게 생각해보고 고민해볼 것을 권유한다.

일제36년의 치욕, 강대국 외부 세력에 의한 해방, 6.25 전쟁을 거쳐 70여 년의 숨가쁜 경제성장 기간 내내 공산국가인 북한과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혈육이 총뿌리를 겨누고 살다보니 우리의 삶은 자연히 이데올로기에 민감하게 되었고 좌우로 나뉜 대결의 시대를 보내면서 무의식적으로 ‘단일관점 본능’에 의해 망치를 쥔 어린아이와 같은 모습으로 진화되어 왔다.

그에 따라 삶의 모든 이슈조차 적과 아군을 가르는 기준을 적용하며 획일적인 가치관으로 평가하고 재단하는데 능숙해져 있다.

그 결과 대다수 국민들은 자신의 기준과 다른 사람을 만날 경우, 나와 다름을 인정하기 보다는 망치를 든 어린아이와 같이 망치로 때려서라도 자기 기준에 맞춰 평평하게 만들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하다.

결국 대립과 대결 양상에서 상대방에 대한 증오로까지 이어지는 양상이다.

그래서 이제는 조국 장관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좀 더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것을 권하고 싶다.

이제는 한 단계 더 성숙한 시각으로 상대의 다름에 대한 포용을 통해 나와 다른 뜻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해심을 높이고 일방적인 적대감을 버려야 할 때가 되었다.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은 없다.

조국 장관이 사퇴한다고 이 문제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것도 아닐 것이며 또한 국민 모두가 동의하지도 않을 것이기에 지지세력과 반대세력의 대립양상은 더 커져갈 것으로 보인다.

사퇴할 경우, 민주당은 사법 개혁의 기회를 놓쳤다고 난리를 칠 것이며, 그대로 머물 경우,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과 많은 국민들로부터 감당하기 힘든 후 폭풍이 불어올 것은 자명하다.

역사를 살펴보더라도 항상 진실은 시간이 지나면 밝혀지게 마련이기에 일시적 봉합이 가능할지는 몰라도 정권이 바뀌고 세월이 흐르면 잘못 처리된 사안은 또 다른 적폐로 부상하여 불필요한 국력을 낭비할 가능성이 높다.

필자의 시각에서 볼 때, 이 문제는 단순히 조국 장관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상대 정당을 죽여야 내가 살고 상대를 비방하고 공격해야 내 표가 하나 늘어난다는 이분법적인 인식을 가진 정치 집단 전체의 문제라고 본다.

민주당의 입장에서는 그들이 염원하는 사법 개혁을 통해 장기집권이 가능한 정치 구도로 바꾸고 싶은 것이며,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의 경우는 어떻게 해서든 조국의 낙마를 통한 집권 여당의 민낯을 까발려 자신들의 위상과 정권을 되찾고 싶을 뿐이다.

그러나 솔직히 그 누가 권력을 잡던 우리 민초들은 별로 관심이 없다.

그리고 이제는 무엇보다 국민들이 현명해야 한다.

이제는 더 이상 망치를 쥔 어린아이와 같이 ‘단일 관점 본능’에서 벗어나 타인의 의견이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며 적과 아군뿐 아니라 중립적인 존재도 존중하는 정치적으로 성숙된 국민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냉정하게 양측의 입장에서 사안을 평가하여 옳고 그름을 선거를 통한 민심의 표출로 나타내야 할 것이다.





신근영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