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자립도 10.08% 불과…선심성 논란·물가 인상 부작용도
[통통 지역경제] 전 김제시민에 100만원씩 지급하자 시내가 들썩
"시내가 난리 났죠. 자주 먹지 못했던 소고기도 사 먹고 평소에 눈여겨봤던 물건도 사고…."
전북 김제시 신풍동에서 김밥 전문점을 운영하는 이모(51·여) 씨는 최근 김제시가 전 시민에게 100만 원씩 지급한 일상 회복지원금(재난지원금)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이씨는 "예전에 10만 원씩 지원금을 지원했을 때는 그 효과가 2주 정도 갔는데 지금은 추석 연휴가 지나고도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영업 이익이 높다"며 "단비 같은 지원금"이라고 활짝 웃었다.

김제시가 지난 9월부터 모든 시민에게 일상 회복지원금 100만 원씩을 지원하자 김제 시내가 들썩이고 있다.

시는 지난 8월 25일 시의회 임시회 의결을 거쳐 일상 회복지원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소득·재산 기준과 관련 없이 김제 시민이면 누구나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올해 5월 10일 현재 김제시에 주소만 두고 있으면 대상이 된다.

1인당 지급액으로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전남 영광군과 함께 가장 많다.

민선 8기 정성주 시장의 주요 공약이다.

결혼이민자를 포함해 8만1천91명이 대상이며 1인당 100만 원씩 무기명 선불카드로 지급된다.

선불카드는 대형마트와 유흥업소, 직영 프랜차이즈 등을 제외한 김제 시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기한은 내년 2월 28일까지이며 기한이 지난 후에는 카드 잔액이 일괄 소멸한다.

김제시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재확산으로 인해 위축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제2회 추경에 예산을 편성했다.

하지만 관련 예산 811억 원을 세워둔 것을 두고 김제시 안팎에서는 찬반양론이 일고 있다.

지자체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재정자립도가 10.08%일 정도로 재정이 열악해서다.

전북도 14개 시·군 평균에도 못 미친다.

'움츠러든 지역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취지와는 달리 '다음 선거를 의식한 사실상 매표 행위가 아니냐'란 지적이 나온다.

벌써 부작용도 발생했다.

일부 자영업자는 이때를 틈타 음식값과 물건값을 올렸고 '선 결제 후 구매' 등의 꼼수까지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위축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파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불요불급한 예산을 감축해 마련하는 만큼 현안 사업 추진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정성주 시장도 "이번 일상 회복지원금이 마중물이 돼 그동안 침체해 있던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