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통일평화硏 학술회의…"경제·문화 협력해 변화 끌어내야"
"北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철거는 국제화 노력 신호"
북한에서 김일성과 김정일 초상화를 철거하는 움직임이 뚜렷한 가운데 이는 북한이 국제화로 가는 신호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는 11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공동 개최한 '김정은 시대 북한 사회문화변동' 학술회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에서 주석단 정면에 걸려있던 김일성 주석 및 김정일 국방위원장 초상화를 떼어냈다.

2019년에도 당 전원회의 단상 정면에 있던 김 부자 초상화를 없앴고, 2015년에는 평양 순안국제공항에 붙어있던 김일성 초상화를 치웠다.

아울러 지난해 4월 열린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10차 대회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청년동맹 명칭에서 떼고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으로 바꿨다.

김 교수는 이런 변화의 배경에 젊은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국제 경쟁력 강화' 전략이 자리한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발전을 가로막은 걸림돌 중 하나가 지난 70년간 '주체'의 이름으로 추진한 극단적 폐쇄주의와 국수주의인데, 청소년기를 스위스에서 유학한 김 위원장은 이를 나름대로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북한 최고 명문인 김일성종합대학 개교 70주년이던 2016년 외국대학 및 연구기관과 적극적 교류를 지시했던 것도 국제화 열망을 드러낸 사례다.

행사마다 '퍼스트레이디' 리설주 여사를 대동하고 국무위원장 영문 명칭을 'chairman'에서 'president'로 바꾼 것 역시 정상국가 면모를 보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北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철거는 국제화 노력 신호"
김 교수는 "김일성-김정일주의나 김 부자 초상화 부착 등이 대내 결속을 위해서는 도움이 될지 모르나 국제적으로는 조롱거리로 전락한 지 오래"라며 "향후 북한 사람들이 해외여행이나 외교관계에서 김 부자 초상화 대신 북한국기를 착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또 김 교수는 김정은이 정상국가를 향한 여러 조치에 대해 미국의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여겨 좌절한 만큼, 강경파 압박이 커지면 익숙한 폐쇄적 관행으로 회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남한이 북한에 국제규범과 기준에 따라 행동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북한이 스스로 변화하고 인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이 국제적으로 경제와 문화, 외교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경제협력은 물론 예술, 체육, 종교, 학계 등 다각도 문화협력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