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융합이 돌파구] 韓, 촘촘한 규제에 걸려 핀테크산업 '지지부진'…英, 정부지원 힘입어  IT금융 '승승장구'
‘핀테크(fintech)’ 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른 영국 런던에는 정보기술(IT)과 금융을 융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개발하고 있는 신생기업(스타트업)이 1300여개에 이른다. 지난 5년간 이들 핀테크 기업에 투자된 자금은 7억8000만달러. 2008년 대비 600% 늘어났다. 증가율만 놓고 보면 미국 실리콘밸리의 3배가 넘는다.

핀테크 산업에 대한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배경은 영국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다. 영국은 세계 금융의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한 핵심 요소로 핀테크를 꼽고 있다. 핀테크는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선점 효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스마트폰에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한 번 설치하고 나면 비슷한 서비스가 아무리 쏟아져 나와도 웬만해서는 바꾸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후발주자가 절대적으로 불리한 싸움에서 승리를 잡으려면 먼저 치고 나가는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한국 핀테크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

한국의 핀테크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여서 산업이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할 지경이다. 카카오톡 사용자끼리 소액을 이체할 수 있는 뱅크월렛카카오가 최근에야 겨우 서비스다운 서비스로 나왔을 뿐이다. 오정근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원은 “구글과 페이스북이 은행을 하겠다고 나서고 있고 중국 알리페이가 글로벌 결제 시장을 호령하는데 한국의 핀테크 산업은 낙후돼도 너무 낙후됐다”며 “그렇지 않아도 경쟁력이 떨어지는 한국 금융산업이 미래 먹거리를 찾는 일조차 소홀하니 큰일”이라고 우려했다.

세계경제포럼은 한국의 금융산업 경쟁력을 세계 80위로 평가했다. 케냐(24위)와 네팔(75위)보다도 뒤진다. 7점 만점에 3.8점을 받았다. 효율성은 98위(3.1점), 대출 접근성은 120위(2.2점)다.

그런데도 위기 의식을 찾아볼 수 없다. 핀테크 산업이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면 그나마 겨우 지켜온 ‘안방’까지 고스란히 내줄 판국인데도 딴전이다. 세계 모바일 시장 결제 규모가 3년 뒤면 7210억달러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금융권 종사자들은 아직도 ‘핀테크가 발전하는 나라는 금융 인프라가 부족해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나왔을 뿐’이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핀테크는 ‘면허’라는 울타리 안에 안주했던 전통적 금융산업을 벌써부터 위협하고 있다. 온라인과 모바일 지급결제뿐만 아니라 저렴한 금리의 개인 간(P2P) 대출(렌딩클럽), 수수료를 10분의 1로 낮춘 해외 송금 서비스(트랜스퍼와이즈) 등이 국경을 가리지 않고 시장을 잠식하는 중이다. 당장 비씨카드는 알리페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중국 인롄카드와 제휴해 중국 관광객이 한국에서 신용카드를 쓸 때 결제 과정을 대행해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챙겨온 비씨카드는 지난해 알리페이의 한국 진출로 타격을 받고 있다.

“과감한 규제 철폐가 최우선 과제”

전문가들은 이제라도 핀테크 산업 키우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우선 과제는 규제 완화다.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핀테크 기업들이 국내 규제로 발목을 잡히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 핀테크 투자 규모는 작년에만 30억달러를 넘어섰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집계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한 실정이다. 이영환 건국대 금융IT학과 교수는 “과감하게 규제를 철폐해 핀테크 생태계 조성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권도 적극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민수 아이팝콘 부사장은 “IT 세계 1위, 신용카드 세계 1위의 인프라를 갖추고도 국내에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이 나오지 않는 것은 IT기업을 배제하려는 금융회사들의 이기주의 때문”이라며 “휴대폰 문자서비스 수익을 지키려다 카카오톡에 스마트폰 메신저 시장을 완전히 빼앗긴 이동통신사와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