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스마트폰 '갤럭시S23' 시리즈에 코닝의 최신 강화유리인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2'를 적용해 디스플레이 내구성을 강화했다.지난해 11월 출시된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2는 전 세대 제품(고릴라 글래스 빅터스)보다 스크래치 내구성이 높다. 콘크리트 등 거친 표면에 떨어져도 잘 깨지지 않는다는 게 코닝 관계자의 설명이다.코닝이 진행한 성능 테스트에 따르면 신제품은 1m 높이에서 콘크리트를 재현한 바닥에 떨어졌지만 충격을 견뎠다. 2m 높이에서 아스팔트 재현 표면에 떨어져도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같은 실험에서 경쟁사의 강화 유리는 깨진 것으로 전해졌다.코닝 관계자는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2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공 소재인 콘크리트 등 거친 표면 위에 떨어져도 잘 견딘다"고 말했다.신제품 제작엔 친환경 소재가 활용됐다. 미국 인증기관인 UL로부터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한 소재가 평균 22% 포함됐다는 'ECV 환경마크'를 인증받았다. ECV 환경마크 제품은 인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UL로부터 정기적인 테스트를 받는다.데이비드 벨라스케즈 고릴라 글래스 부사장은 "코닝은 삼성과의 오랜 파트너십을 지속하고 있다"며 "코닝 고릴라 글래스의 최신 혁신 제품이 삼성의 차세대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최승은 삼성전자 MX사업부 마케팅팀장(부사장)은 "삼성의 차세대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코닝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2를 채택하는 최초의 기기"라며 "강화된 내구성과 개선된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하겠다"고
온라인 제조 플랫폼 캐파를 운영하는 에이팀벤처스가 5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 투자자인 알토스벤처스를 포함해 종합상사 기업 LX인터내셔널이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했다. 에이팀벤처스가 SI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재무적 투자자(FI)로는 국내 증권사인 하나증권이 처음 투자했다.에이팀벤처스는 외주로 제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고객이 온라인에서 제조업체(공장)를 찾 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라인 제조 플랫폼 '캐파(CAPA)'와 제조·건설업체 관계자들을 위해 개발한 도면 기반 협업 툴 '캐파 커넥트'를 서비스하는 스타트업이다. 약 2200곳의 전문 제조업체가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에이팀벤처스는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신규 고객 확보와 캐파 서비스 고도화, AI(인공지능) 기반 견적자동화를 비롯한 연구개발(R&D)에 우선적으로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전략적 투자자인 LX인터내셔널의 글로벌 사업 역량과 네트워크를 활용, 캐파의 신사업 기회 발굴 및 해외 진출 등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는 “스타트업계가 투자 혹한기를 맞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제조의 온라인 서비스화’라는 캐파의 비전에 공감한 것 같다”며 “국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파트너들을 모으고 ‘오프라인’에 익숙한 잠재고객들을 온라인으로 끌어들여 온라인 제조를 인터넷 쇼핑처럼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이번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 LX인터내셔널의 관계자는 “제조, 물류 분야는 최근 블록화 경향에 따라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될 유망한 분야로, 에이팀
LG헬로비전이 지난해 매출 1조1679억원, 영업이익 538억원을 냈다. 전년 대비 각각 8.1%, 20.9% 늘었다.26일 LG헬로비전은 연간 실적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877억원, 영업이익은 93억원 증가했다. 4분기 기준으로는 매출 2825억원, 영업이익 9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억원, 전 분기 대비 433억원 줄어든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억원, 전 분기 대비 81억원 감소했다. LG헬로비전은 "작년 3분기에 교육용 스마트 단말 판매를 비롯한 일회성 수익이 반영됐다"며 "이때문에 4분기는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LG헬로비전은 홈 부문에서 매출 6797억원을 냈다. 전년 홈 부문 매출(6805억원)에 비해 소폭 줄었다. TV 매출이 5455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줄고, 인터넷전화 매출은 지난해 1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5.2% 적었다. MVNO 부문은 2021년보다 33억원 적은 1668억원 매출을 냈다. 연간 서비스 수익은 1521억원, 단말기 매출은 147억원이었다. 미디어와 렌탈, B2B를 포함한 기타 매출은 321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40% 늘었다. 미디어 사업은 지역 채널 오리지널 콘텐츠를 키운 영향으로 시청자층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지역 채널 커머스 활성화도 추진하고 있다. LG헬로비전은 "디지털 채널을 통해 비대면 중심의 소비자 경험을 강화할 것"이라며 "MVNO 가입자 순증세도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LG헬로비전은 향후 e심(eSIM)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민형 LG헬로비전 최고재무책임자는 "2023년에는 소비자 경험 혁신을 가속화해 양질의 가입자를 확대하고, 지역채널 커머스와 지역 특화사업을 본격 육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