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기업 5곳이 뉴욕증시 자진 상장폐지를 발표한 이후 중국 국영 항공사들과 주요 인터넷 기업들도 미국 증시 자진 상폐를 곧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이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덴마크 삭소은행의 중화권 시장 전략가인 레드먼드 웡은 미·중 간 대립 격화로 중국이 미국 규제당국에 양보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특히 중국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이 "곧" 미국 증시 자진상폐 결정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중국 국무원의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SASAC)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항공사 특성상 앞서 지난 12일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과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석유(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등 5개 기업은 공시를 통해 뉴욕증시에 자진 상폐를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5개 기업 중 4개도 SASAC의 관할 아래 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1997년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2천700만달러(약 2천975억원), 6억3천200만달러(약 8천282억원)를 각각 조달했다. 두 항공사 모두 홍콩과 중국 증시에도 상장돼 있다. 삭소은행의 웡 전략가는 이어 수많은 중국 개인들과 기업·기관들에 대해 막대한 양의 민감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들도 미국 증시를 떠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규제당국의 잠재적 퇴출 명단에 들어있는 알리바바와 핀둬둬, JD닷컴(징둥·京東), 바이두, 소후닷컴, 웨이보, 비리비리, 아이치이(iQiyi), KE홀딩스, 텐센트 뮤직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자진 상폐 후보로 지목했다. 미국은 오랫동안 회계 감독기구인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가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중국은 주권을 내세워 이들 기업이 PCAOB의 감사에 직접 응하는 것을 제한해왔다. 결국 미국은 2020년 말 자국의 회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규정한 '외국회사문책법'을 도입, 자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3개사의 퇴출을 예고했다. 사실상 중국 회사들을 겨냥해 제정된 이 법은 PCAOB의 회계감사를 3년 연속 통과하지 못한 외국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연합뉴스
우크라 자포리자 원전단지 안전 우려 고조 속 시찰 불발 놓고 공방 유엔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 시찰 계획을 중단시켰다는 러시아의 주장을 유엔 사무총장실이 일축했다.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관련 의혹과 관련해 취재진에게 "전혀 그렇지 않다"고 부인했다. 뒤자리크 대변인은 "유엔 사무총장실은 IAEA의 방문을 막거나 취소할 권한이 없다"며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IAEA는 유엔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운영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14일 빈 주재 국제기구 러시아 대표부의 미하일 울리야노프 대사는 러시아 타스통신에 "러시아와 IAEA는 6월3일 시찰단의 자포리자 방문 경로와 일정을 합의했으나 마지막 순간에 유엔 사무국이 방문을 막아섰다"고 주장했다. 울리야노프 대사는 "시찰단은 여러 나라의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됐으며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이 주도할 예정이었다"며 "유엔은 방문을 막은 이유에 대해 명확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었다. 러시아는 2월24일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3월 초 자포리자 원전단지를 장악했다. 유럽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시설인 자포리자 원전단지 주변에서는 최근 크고 작은 포격전이 벌어져 방사성 물질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15일에도 포격으로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고 러시아 점령군 측 행정당국은 주장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공격의 책임을 서로에 떠넘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IAEA는 혹시 모를 방사성 물질 유출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포리자 원전에서 모든 군사 행동을 중단한 채 보안 전문가가 원자로 훼손 여부나 핵연료 재고 변동 규모 등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은 IAEA의 시찰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시찰단의 진입 경로나 일정, 방식 등을 두고 기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시찰단이 러시아 측 점령지역만을 통해 자포리자 원전으로 접근하는 방식에 강경한 반대 입장을 보인다. 반대로 러시아는 시찰단이 우크라이나 키이우 등을 거쳐 진입하는 경우 안전을 위협당한고 주장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고르 비슈네페츠키 러시아 외무부 핵확산·군비통제국 부국장은 "키이우를 지나쳐간다는 것은 이들이 (우크라이나-러시아군이 대치하는) 최전선을 거쳐 핵시설로 간다는 것"이라며 "이는 엄청난 위험"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달 24일 임기 종료" 주장…정부 "법원 판단 존중할 것" 태국 야권이 쁘라윳 짠오차 총리 임기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판단을 헌법재판소에 구하며 총리 직무 집행을 정지해달라고 요청했다. 16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야권 소수정당인 태국문명당의 몽꼰낏 숙신타라논 대표는 전날 헌법재판소에 이 같은 내용의 청원서를 제출했다. 몽꼰낏 대표는 헌법상 최대 8년인 쁘라윳 총리의 임기 종료일로 야권이 주장하는 이달 24일 이후로 총리 직무 집행 정지 명령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를 통해 쁘라윳 총리가 임기를 넘겨 일할 때 발생하는 법적인 문제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쁘라윳 총리가 24일 이후에도 총리직에 남아있다면 새 총리를 가질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제1야당인 푸어타이당도 쁘라윳 총리 임기와 관련된 청원서를 이날 헌법재판소에 제출할 예정이다. 역시 임기에 관한 판단이 내려질 때까지 쁘라윳 총리의 임기를 정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쁘라윳 총리는 육군참모총장이던 지난 2014년 쿠데타를 일으켜 총리직에 올랐고, 이후 2019년 총선을 통해 집권을 연장했다. 태국 정치권에서는 쁘라윳 총리의 임기 종료 시점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군정이 2017년 개정한 헌법에 따르면 총리 임기는 최대 8년이다. 야권에서는 2014년 쿠데타로 총리 자리에 오른 시점부터 계산해 이달 24일 임기가 끝난다고 주장한다. 여권은 2017년 개헌 이후 2019년 총선을 통해 총리로 임명됐으므로 2027년까지 총리직을 수행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새 헌법이 공포된 2017년 4월부터 따져 내년이 기한이라는 해석도 있다. 타나꼰 왕분꽁차나 정부 대변인은 임기 논란과 관련해 "충분한 이해도 없이 헌법을 각자 해석하려 하지 말고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기다리자"며 "쁘라윳 총리도 법원의 의견을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