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다보스포럼'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에 첫 한국 세션 마련"중국 불안 속 아시아 다른 국가로…한국 반도체·일본 강세""6월 관찰대상국 포함되면 1∼2년내 MSCI 선진지수 편입…분위기 지켜봐야"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이 역대 최대 규모의 한국 주식을 사들이는 가운데 현지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한국 증시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확산하고 있다.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이달 초 미국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에 참석한 해외 투자자들이 국내 시장에 많은 관심을 드러냈다"고 29일 말했다.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는 미국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며 세계 최대 투자가들이 몰리는 행사로, 올해 처음 우리 경제와 기업·투자 등을 논의하는 한국 세션이 마련됐다. 아시아 단일 국가 세션이 마련된 것은 밀컨연구소가 1998년 첫 콘퍼런스를 개최한 후 일본과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 번째다. 올해 이 행사에 시티그룹 최고경영자(CEO) 제인 프레이저, 골드만삭스 회장 데이비드 솔로몬, 글로벌 3대 사모펀드 KKR의 한국계 CEO 조지프 배, 국제통화기금(IMF)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등이 참석했다. 손 이사장은 한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관찰대상국 편입 등에 긍정적인 여론 형성을 도모하고자 한국 세션 패널로 참여했다. 그는 "당시 해외 투자자들은 미·중 관계, 미국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시점에 관심을 보였고 투자가들 사이에선 투자 다변화가 상당한 화두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해외 투자자들은 중국이 불안하고 불확실성이 커 아시아 다른 국가들에 눈을 돌리고 생산기지로 인도, 동남아 투자 대안으로 한국과
엔씨소프트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신작 ‘쓰론 앤 리버티(TL)’가 베일을 벗으면서 증권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리니지 시리즈의 힘이 예전같지 않은 상황에서 이 게임의 흥행 여부에 주가의 향방이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엔씨소프트는 지난 2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6.84% 하락한 33만3500원에 마감했다. 24일 TL의 베타서비스를 시작한 뒤 12.7% 떨어졌다. 유튜브와 일부 게임 커뮤니티에서 이용자들이 혹평을 남긴 데 주가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 투자자는 26일에만 엔씨소프트 주식을 393억원어치 순매도했다.이 회사는 대표적 지식재산권(IP) 게임인 리니지 시리즈에 수익을 의존해왔다. 그러나 과도한 과금 문제로 열성 이용자인 ‘린저씨’(리니지+아저씨)가 이탈하면서 실적이 악화했다. 엔씨소프트는 신작으로 신규 사용자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 저변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최만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