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최고 핵무기 연구기관이 지난 2년여간 미국의 수출 통제를 뚫고 첨단 반도체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 정부가 쌓아 올린 규제 장벽에 빈틈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종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수출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잇따른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국영 중국공정물리연구원(CAEP)의 조달 문건을 인용해 지난 2020년 이후 2년 반 동안 미국 반도체 업체로부터 최소 12건 이상 첨단 반도체를 조달했다고 보도했다.
1958년 중국 쓰촨성에 설립된 CAEP는 최고 핵무기 연구자들을 기용해 중국 최초의 수소폭탄 개발한 곳이다. 미국은 1997년 CAEP를 중국 기관 중 처음으로 수출통제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하지만 수출통제를 우회해서 반도체를 계속 들여왔다. 미국의 첨단 기술이 중국에 이전되지 않도록 추가 조치에 나섰으나 사각지대를 막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CAEP는 지난 2년간 미국의 반도체업체인 인텔, 엔비디아 등의 반도체를 상당량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11월 조달 입찰에선 60여개의 인텔 프로세서 칩과 49개 엔비디아 반도체를 사들였다.
미 상무부가 수출 대상을 확대한 지 5개월 만에 벌어진 일이다. 2020년 6월 미 상무부는 CAEP와 산하 기관 등 중국 핵무기 개발과 관련한 기관 10여곳으로 규제 대상을 확대했다. 베이징 전산과학연구센터를 비롯해 청두 미세광학공학 연구센터 등 기초과학 연구원이 제재 명단에 들었다.
CAEP가 조달한 미국산 반도체는 7나노미터(nm)에서 14나노미터 사이즈로 대부분 중국에서 양산하지 못하는 고성능 반도체다. 데이터센터와 개인용 컴퓨터(PC)에 사용되는 최첨단 반도체는 중국 내 재판매업자(리셀러)를 통해 CAEP에 흘러 들어갔다.
반도체 중 다수는 핵폭발 모델링을 비롯한 계산 유체역학 연구를 위해 쓰였다. 일부는 전산시스템의 부품으로 활용됐다. CAEP가 발간한 연구 논문을 검토한 결과 지난 10년 동안 최소 34건의 연구에서 미국산 반도체가 사용됐다. 30여건 중 최소 7건 연구가 핵무기 유지에 적용됐다는 관측이다.
CAEP의 연구원들은 6건의 연구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비롯해 미국산 반도체를 관성봉입핵융합(ICF) 장치를 향상하기 위해 사용했다. 전문가들은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이 핵무기를 유지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관측했다.
논문을 검토한 프랭크 본 히펠 프린스턴대 교수는 "핵실험을 하지 않고도 기존에 비축한 핵무기를 유지·보존하는 데 필요한 컴퓨터 코드 개선에 사용하려는 의도다"라고 설명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가운데)이 지난 27일 베이징 국립국방대학에서 열린 전국 국방대 총장 합동훈련에 참석해 격려하고 있다. 시 주석은 “강군의 길은 사람에게 있다”며 ‘강군 사상’을 강조했다. /신화연합뉴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1월 연례보고서를 통해 핵무기 개량이 가속화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국 인민군은 지금 같은 속도라면 현재 400여개인 핵탄두를 2035년에는 1500여개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을 향한 제재 강도를 높였지만 감시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는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본격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CAEP가 구매한 인텔의 제온 골드,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등은 중국 e커머스인 타오바오를 통해서 쉽게 구매할 수 있었다. 미 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세계 반도체 매출 5560억 달러 중 33%가량이 중국에서 이뤄졌다.
미국 산업안보국은 판매 업체가 직접 최종사용자를 실사할 것을 요구했고, 미 상무부는 제재를 한층 더 엄격하게 시행할 거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생각은 달랐다.
전략국제연구센터의 그레고리 알렌 선임 연구원은 "중국군과 그 관련 기관들은 페이퍼컴퍼니 등을 활용해 최종 사용자 제한 규제를 피해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핵확산 방지 연구기관인 제임스마틴 센터의 이안 스튜어트 이사는 "최종 사용자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유통업체에 반도체 판매를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메타(META)가 올해를 ‘효율성의 해’로 선언하고 비용 절감에 나서면서 분석가들의 투자 등급 상향이 이어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CNBC 및 마켓워치에 따르면, 키뱅크캐피탈은 이 날 메타를 ‘비중확대’로 상향했다. 목표 가격도 240달러로 올렸다. 화요일 종가 202.16달러에서 18%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 주식은 2022년에 64% 하락한 후 올해 67% 급등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두 자릿수 이상의 수익을 냈으나 2018년과 2022년에 단 두 번 하락을 기록했다. 키뱅크의 분석가 저스틴 패터슨은 메타가 메타버스 투자를 신중히 하면서 정리 해고를 통해 공격적 비용 절감에 나선 점을 높이 평가했다.패터슨은 메타의 비용절감 조치로 올해 운영비용이 올해초 가이던스와 비교해 최대 100억달러(13조원)까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광고 가격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인 CPM (Cost Per Mille:1,000회 노출당 비용) 에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추세가 좋아지고 있다며 광고 전망을 낙관했다. 그는 메타와 함께 알파벳(GOOGL), 핀터레스트(PINS)의 마진 및 잉여현금흐름이 경쟁 압력속에서도 동종업계내에서 우수하다고 했다. 전 날 모건 스탠리도 메타를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 가격도 250달러로 올렸다. 현재 메타를 커버하는 분석가 58명 가운데 강력매수는 16명, 매수는 25명이다. 평균 목표 가격은 219.28달러다. 메타 주가는 지난 해 11월의 저점에서 127%나 상승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은행 부문의 위기감이 감도는 가운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 금리 결정을 앞둔 22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소폭 하락세로 출발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과 S&P500는 개장 직후 각각 0.1% 하락했으며 나스닥 종합은 0.2% 하락했다.금리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날보다 소폭 오른 4.227%를 기록했다. 연준은 동부 표준시 오후 2시에 통화 정책에 대한 성명을 발표하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후 2시 30분에 기자 회견을 할 예정이다.시장에서는 은행 위기에도, 낮아지지 않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4.75%~ 5%의 목표 범위로 25bp(베이시스포인트) 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FRC) 주식은 22일(현지시간)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개장전 거래에서 약 2% 하락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 날 개장전 거래에서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주식은 모든 주식 가운데 가장 많은 700만주가 거래되는 중이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전 날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가 구조 협상을 주도하고 있다는 보도로 30% 가까이 급등했다.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주가는 3월 이후 90% 가까이 하락한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 매각이나 자산 축소를 포함한 옵션을 모색하면서 고문으로 라자드와 매킨지를 고용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미국 은행 CEO들과 미국 정부가 퍼스트 리퍼블릭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부 지원 가능성도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전 날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던 지역 은행 주가도 연준의 금리 발표를 앞둔 이 날 개장전 거래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날 19% 상승했던 팩웨스트뱅코프(PACW) 주가는 개장전 거래에서 2.7% 하락했으며 웨스턴얼라이언스(WAL)은 1.1% 하락했다. CME 페드와치 툴에 따르면, 금리스왑 거래자들의 89%가 연준이 25bp(베이시스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은 전날 14·%보다 낮아진 11%를 나타냈다. 도이치은행 분석가들은 연준의 오늘 결정은 “연준이 은행 혼란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와 오늘 이후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기대하는지 여부”라고 밝혔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