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벨로스터, 11년 만에 완전 단종…"한국은 해치백의 무덤"
![[단독] 벨로스터, 11년 만에 완전 단종…"한국은 해치백의 무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54095.1.jpg)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다음달 중 벨로스터 생산을 중단한다. 신형 모델을 내놓을 계획도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3도어’ 등 파격적인 디자인을 앞세워 현대차 차종 중 가장 실험적인 모델로 통했던 벨로스터가 시장에서 사라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현대차가 벨로스터 단종을 결정한 이유는 아반떼 N 판매와 신형 코나 생산에 집중하기 위해서란 해석이 많다. 현재 벨로스터는 고성능 차종인 ‘벨로스터 N’만 생산되고 있다. 나머지 모델은 이미 단종된 상태다. 벨로스터 N은 같은 고성능 준중형 차량인 아반떼 N과 차급이 겹친다.
스포츠형 고성능 차량을 찾는 소비자들은 두 차종 가운데 해치백 벨로스터 N보다 세단인 아반떼 N을 선택하고 있다. 2020년 국내에서 1388대 팔렸던 벨로스터 N은 아반떼 N이 출시된 2020년 510대로 판매량이 급감했다. 올해 1~4월엔 국내서 99대 팔리는 데 그쳤다. 반면 아반떼 N은 2021년에 7월 출시 후 반년 동안 국내에서 1125대 팔렸고 올해 1~4월엔 1624대로 증가했다. 올해 같은 기간 해외 판매량도 벨로스터 N 1214대, 아반떼 N 2087대다.
![[단독] 벨로스터, 11년 만에 완전 단종…"한국은 해치백의 무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354107.1.png)
모두 해치백 모델인 벨로스터와 아이오닉이 단종되면서 ‘국내 시장은 역시 해치백의 무덤’이라는 점도 재확인됐다는 평가다. 승차감은 세단에 밀리고 실용성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뒤지면서 소비자들이 찾지 않게 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벨로스터의 경우 3도어와 호불호가 갈리는 파격적인 스타일에서 대중성과는 거리가 멀었던 게 사실이다. 현대차는 2020년 또 다른 해치백 모델인 i30를 국내에서 단종하기도 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