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괴물 칩' 잡겠다"…삼성전자의 비밀병기 정체는?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美 AMD와 GPU 협업해 성능 개선
노트북 5G 프로세서로 탑재 가능
삼성전자 노트북 납품 추진
애플은 자체칩 M1 적극 활용
M1 탑재 맥북, 아이패드 '호평'
퀄컴도 노트북용 8cx칩 업그레이드
인텔의 노트북 프로세서 영향력 약화
인텔은 "ARM 기반 칩은 단점 많다" 반격
M1칩 탑재 애플 맥북과 아이패드 성능 '호평'
스마트폰용 AP 업체들이 ‘인텔의 텃밭’으로 평가되는 노트북 프로세서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다. 노트북용 칩 M1을 지난해 11월 공개한 애플이 대표적이다. M1은 노트북에 탑재돼 데이터 연산·통신·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칩셋(SoC)이다. TSMC의 최신 5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공정에서 제작한다.
퀄컴 '스냅드래곤 8cx'는 삼성 노트북에 탑재
전통의 스마트폰 AP 강자 퀄컴도 노트북 프로세서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현재 퀄컴의 간판 노트북 칩셋은 2018년 말 공개한 ‘스냅드래곤 8cx’다. 7nm 공정에서 생산되는 이 제품 역시 M1처럼 ARM 설계 기반 SoC다. 5G 이동통신을 지원한다.2020년 출시된 2세대 8cx는 삼성전자의 노트북인 '갤럭시 북 S' 등에 탑재됐다. 애플 M1칩에 자극 받은 퀄컴은 현재 3세대 8cx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괴물 칩' 잡겠다"…삼성전자의 비밀병기 정체는?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287053.1.jpg)
애플 "M1칩으로 애플 생태계 통합"
노트북 제조사들이 좀 더 효율적인 프로세서를 원하는 영향도 크다. 예컨대 M1이나 8cx 칩을 탑재한 노트북들은 인텔 칩을 넣은 제품보다 배터리가 오래가고 두께는 얇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존 제품은 인텔의 CPU와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칩을 각각 탑재해 메인보드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았다. 애플의 M1이나 퀄컴의 8cx는 CPU, GPU 등을 한 데 모은 ‘원칩’을 구현함으로써 인텔 프로세서의 단점을 보완했다.애플은 여기에 더해 ‘제품 생태계 통합’을 위해 M1칩을 적극 활용 중이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PC에서도 자체 개발 반도체칩을 활용해 애플 기기 간의 호환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도 하반기 노트북 탑재 가능 '엑시노스' 출격
삼성전자도 올 하반기 노트북과 스마트폰에서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엑시노스 프로세서(가칭 엑시노스 2200)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 칩은 엑시노스의 단점으로 꼽혔던 그래픽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반도체업체 AMD와 협업해 개발한 GPU를 적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최근 ARM기반 프로세서가 노트북에 탑재되는 사례가 늘면서 삼성전자 엑시노스도 노트북에 들어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엑시노스는 인텔 칩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5nm 미세공정의 장점을 활용해 성능도 향상됐다”며 “엑시노스의 노트북 탑재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노트북을 담당하는 무선사업부는 하반기 출시 제품에 자사 엑시노스칩의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노트북에 엑시노스칩이 탑재되는 건 2013년 '엑시노스 5' 옥타 이후 약 8년 만이다.
!["애플 '괴물 칩' 잡겠다"…삼성전자의 비밀병기 정체는?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01.26287052.1.jpg)
황정수 기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