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船 앞세워…점유율 43%
조선업계 연초부터 수주 랠리
현대重, 벌써 11척 1.3兆 계약
한국 조선업계가 중국을 제치고 작년 선박 수주량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상반기 혹독한 수주 가뭄을 겪었지만 연말 몰아치기 수주로 12월 마지막주 극적인 역전에 성공했다.
1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총 819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187척)를 수주하며 시장 점유율 43%를 차지, 세계 1위에 올랐다. 중국이 793만CGT(353척·41%)로 뒤를 이었다. 일본은 137만CGT(86척·7%)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중국은 351만CGT를 수주하며 한국(118CGT)과의 격차를 두 배 이상으로 벌렸지만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들은 하반기부터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을 본격적으로 수주하며 추격에 나섰다.
특히 작년 12월 세계 발주량(392만CGT) 가운데 73%인 285만CGT를 쓸어담으며 중국(101만CGT)을 제쳤다. 척당 가격이 1억8600만달러(약 2050억원)에 달하는 LNG 운반선을 잇달아 수주하는 뒷심을 발휘했다.
한국은 지난해 발주된 대형 LNG 운반선 49척 중 36척(73%), VLCC 41척 중 35척(85%),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28척 중 18척(64%)을 수주하며 고부가가치 선종에서 저력을 드러냈다. 지난해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24만CGT로 전년(2910만CGT) 대비 66% 감소했지만 한국의 점유율은 43%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았다.
한국 조선사들은 올해도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날 유럽 선사로부터 30만t급 VLCC 2척을 2000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5일 올해 첫 수주를 시작으로 1주일 동안 총 11척(1조3000억원)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올해 시장 회복이 기대되는 컨테이너선을 비롯해 LNG선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올해 수주 목표액을 작년(110억달러)보다 약 35.4% 높인 149억달러(약 16조1000억원)로 잡았다.
한국 조선업계가 중국을 제치고 작년 선박 수주량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상반기 혹독한 수주가뭄을 겪었지만 연말 몰아치기 수주로 12월 마지막주 극적인 역전에 성공했다.1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총 819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187척를 수주하며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시장점유율은 43%였다. 중국이 793만CGT(353척·41%)로 뒤를 이었다. 일본은 137만CGT(86척·7%)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상반기까지만 해도 중국은 351만CGT를 수주하며 한국(118CGT)과 격차를 두 배 이상으로 벌렸지만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들은 하반기부터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을 본격적으로 수주하며 추격에 나섰다.한국은 작년 12월 전세계 발주량(392만CGT) 가운데 73%인 285만CGT를 쓸어담으며 중국(101만CGT)을 제쳤다. 척당 가격이 1억8600만달러(약 2050억원)에 달하는 액화천연가스(LNG)선을 잇달아 수주하며 뒷심을 발휘한 끝에, 9회말 역전 ‘끝내기 홈런’을 쳐내는 데 성공했다.한국은 지난해 발주된 대형 LNG운반선 49척 중 36척(73%), VLCC 41척 중 35척(85%), 수에즈막스(S-Max)급 원유운반선 28척 중 18척(64%)을 수주하며 고부가가치 선종에서 저력을 드러냈다. 지난해 전 세계 누계 발주량은 1924만CGT로 전년(2910만CGT) 대비 66% 감소했다. 하지만 한국의 점유율은 43%로 10년래 가장 높았다.한국 조선사들은 올해도 수주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날 유럽 소재 선사로부터 30만t급 VLCC(사진) 2척을 2000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5일 올해 첫 수주를 시작으로 1주일 새 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척,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1척,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1척, VLCC 2척 등 총 11척(1조3000억원)의 건조계약을 체결했다.조선업계는 올해 상반기에도 수주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3주 연속 올라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해운 호황으로 컨테이너선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올해 시장 회복이 기대되는 컨테이너선을 비롯해 LNG선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올해 수주 목표액을 작년(110억달러)보다 약 35.4% 높인 149억달러(약 16조1000억원)로 잡았다.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현대중공업그룹이 총 2880억원 규모의 선박 3척을 수주했다.현대중공업그룹은 11일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아시아 소재 선사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척,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1척, 5만t급 PC선 1척의 건조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는 동급 LNG운반선 2척, LPG운반선 1척에 대한 옵션이 포함돼 총 4500억원 규모의 추가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LNG 운반선은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해 2023년 하반기까지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 선박에는 운항 중 발생한 증발 가스를 재액화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LPG 운반선은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지어 2023년 상반기 선주사에 인도된다. PC선 1척은 현대베트남조선에서 건조한다.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5일 아시아 선사로부터 LNG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9000억원에 계약하며 새해 첫 수주를 따냈다.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2016년 삼성중공업은 최악의 수주 가뭄을 겪었다. 전년도 적자 규모도 1조2000억원에 달했다. 혹독한 인력 구조조정이 뒤따랐다. 선박 전기제어장치를 생산하는 기전사업부도 그중 하나였다. 분사해서 독자생존하라는 방침이 떨어졌다.조선 불황의 끝이 보이지 않던 2017년 9월 조선기자재업체 에스엔시스(S&SYS)는 이런 암울한 상황 속에서 탄생했다. 삼성이라는 든든한 울타리를 벗어나 망망대해로 나아가는 배에 합류하겠다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180여 명이던 사업부 인력은 절반 수준인 95명으로 줄었다. 당시 기전팀장이었던 배재혁 상무(현 에스엔시스 사장)는 남은 직원들과 십시일반 힘을 모아 기전사업부 지분을 인수했다. 그는 “인생에서 가장 막막한 시기였다”고 회상했다.생존이 불투명했던 회사는 홀로서기 4년째를 맞아 반전에 성공했다. 매출은 2018년 599억원에서 지난해 약 1300억원으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에 선정되고 ‘3000만불 수출의 탑’도 수상하며 국내 조선업계의 강소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삼성重 의존도 60%→30%지난달 31일 경남 함안군 칠서면의 에스엔시스 공장에 들어서자 어른 키만 한 직사각형 모양의 철제 박스가 눈에 들어왔다. 주력 상품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였다. 선박은 화물을 많이 실으면 선박 내부의 바닷물(평형수)을 빼고 하역할 때는 바닷물을 채워 균형을 유지한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평형수 부족’이 침몰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 장치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유해 수상생물과 병원균을 제거해 해양 생태계 파괴와 교란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배 사장은 분사 이전부터 세계적으로 평형수 처리장치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기술 개발에 힘을 쏟았다.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2017년 체결된 국제협약에 따라 평형수 처리장치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에스엔시스는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작년 매출의 절반을 평형수 처리장치로 올렸다. 업계에서는 관련 시장이 3년 안에 4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삼성중공업 의존도는 줄어들고 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7년 60%에서 30%대로 줄었다. 그 대신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매출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올린다. 2019년에는 글로벌 정유업체 쉘의 선박 20척에 평형수 처리장치를 납품했다. 일본 미쓰비시 스미토모, 중국 양쯔강조선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지금까지 750여 척의 배에 평형수 처리장치를 공급했다. 배 사장은 “국내 조선업체만 바라봐서는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며 “기술력과 글로벌 역량이 에스엔시스의 핵심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바다 한가운데 배 원격수리공장 한편에는 20~30m에 달하는 거대한 녹색 철제 박스가 줄지어 있었다. 회사가 선박용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함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선박 제어 시스템이다. 스위치를 올리자 대포 같은 굉음이 공장 전체에 울렸다. 강상윤 생산운영센터장(공장장)은 “배의 심장이 작동하는 소리”라며 “액화천연가스(LNG)선의 엔진, 탱크, 기관실 등 배 곳곳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장치”라고 설명했다.에스엔시스도 작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을 비켜갈 수는 없었다. 선박 발주가 줄어든 탓에 작년 목표 수주액의 70%밖에 채우지 못했다. 회사는 대안으로 운항 중인 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RMS(원격 유지보수 시스템)’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7월 RMS센터를 열고 인력을 보강했다. 황외열 경영지원본부장은 “코로나19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삼성중공업 칠서공장 옆의 에스엔시스 공장은 내년 1월 문을 닫고 부산으로 자리를 옮겨 ‘진짜 홀로서기’에 나선다. 삼성의 품을 떠났지만 본가의 DNA는 회사 곳곳에 남아 있다. 에스엔시스는 철저한 성과 위주 보수체계를 적용하고 기전사업부 시절부터 이어진 ‘몰입데이’도 운영하고 있다. 경영진을 비롯해 현장 엔지니어, 영업직 등 다양한 직군의 임직원이 모여 난상토론을 벌인 뒤 책임자를 선정해 새로운 사업을 이끌도록 하는 것이다. 배 사장은 “임직원 주주회사로서 모두가 주인의식을 갖고 땀 흘리는 것이 회사의 힘”이라고 말했다.함안=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