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심거래 보고 효율화·정보보안 강화

한층 고도화된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이 17일부터 가동된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는 차세대 자금세탁방지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이날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FIU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은 금융회사들이 보고하는 자금세탁범죄와 관련된 금융거래정보를 분석해 검찰·경찰 등 법집행기관에 제공하는 자금세탁방지시스템으로 2002년 첫 가동에 들어갔다.

이후 보고 정보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시스템은 노후화함에 따라 정보를 적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FIU는 작년 5월부터 약 200억원을 들여 차세대 시스템 구축사업을 진행했다.

차세대 시스템에서는 의심거래보고(STR) 보고 비율이 기존의 약 3배로 오르고, 접수처리용량도 다중처리방식을 통해 5배 이상 늘었다.

머신러닝 접목해 자금세탁 잡는다…FIU 차세대 시스템 가동
자금세탁범죄 심사분석 역량 역시 강화됐다.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해 갈수록 지능화·고도화하는 자금세탁수법에 대응하도록 했다.

또 심사분석에 필요한 행정자료의 종류를 확대하고 행정기관 시스템과 직접 연계해 기존 10일 이상 걸리던 자료 입수 기간을 1일 이내로 단축했다.

모든 전산 장비는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설치됐다.

과거 FIU가 외주인력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구축·관리하던 것과 달리, 관리원 담당 직원이 직접 운영하도록 해 정보보안을 강화했다는 설명이다.

FIU 차세대 시스템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비상 대응 체계를 운영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특정금융정보법령 개정 등 관련 내용을 시스템에 적기에 반영하고, 가상자산 등 새로운 거래 수단을 이용한 자금세탁범죄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