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소비자물가 2.7% 상승…2%대 둔화흐름 속 '金과일' 여전(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과 80%·배 126%↑…석유류 16개월 만에 최고상승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 후반에서 안정되는 흐름을 보였다.
다만, 과일값 고공행진이 이어졌고 등락을 거듭하는 국제유가 상승분이 반영되면서 석유류 가격도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7%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3%대(3.1%)로 높아진 뒤 지난 4월(2.9%)부터 다시 2%대로 내려앉았다.
먹거리 가격과 유가 불안이 지난달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기여도 측면에서 농산물 물가가 19.0% 올라 전체 지수를 0.69%포인트(p) 끌어올렸다.
사과(80.4%), 배(126.3%) 등 과일 가격 강세가 지속된 탓이다.
작년 작황 부진에 따른 공급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사과는 3월(88.2%)과 4월(80.8%)에 이어 석 달째 8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배 가격 상승률은 역대 최고치다.
밥상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식품 지수도 작년 동월 대비 17.3% 올랐다.
기상 여건이 나아지면서 신선채소가 7.5% 올라 한자릿수대 상승률로 둔화했지만, 신선과실 상승률은 39.5%로 불안한 흐름이 이어졌다.
가공식품도 2.0%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에 0.17%p 기여했다.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3.1%로 나타나 전월(1.3%)보다 오름세가 확대됐다.
작년 1월 4.1% 이후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는 국제 유가 변동에 따라서 등락하는데 지난달에 가격 올랐다가 지금은 떨어지는 추세"라며 "지난달에는 국제 유가가 올랐던 것이 반영돼 상승했다"고 말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올라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공미숙 심의관은 "물가상승률이 조금씩 내려오고 있다"며 "석유류 가격과 기상 등 여러 불확실성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다만, 과일값 고공행진이 이어졌고 등락을 거듭하는 국제유가 상승분이 반영되면서 석유류 가격도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7%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3%대(3.1%)로 높아진 뒤 지난 4월(2.9%)부터 다시 2%대로 내려앉았다.
먹거리 가격과 유가 불안이 지난달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기여도 측면에서 농산물 물가가 19.0% 올라 전체 지수를 0.69%포인트(p) 끌어올렸다.
사과(80.4%), 배(126.3%) 등 과일 가격 강세가 지속된 탓이다.
작년 작황 부진에 따른 공급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사과는 3월(88.2%)과 4월(80.8%)에 이어 석 달째 8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배 가격 상승률은 역대 최고치다.
밥상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식품 지수도 작년 동월 대비 17.3% 올랐다.
기상 여건이 나아지면서 신선채소가 7.5% 올라 한자릿수대 상승률로 둔화했지만, 신선과실 상승률은 39.5%로 불안한 흐름이 이어졌다.
가공식품도 2.0%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에 0.17%p 기여했다.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3.1%로 나타나 전월(1.3%)보다 오름세가 확대됐다.
작년 1월 4.1% 이후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는 국제 유가 변동에 따라서 등락하는데 지난달에 가격 올랐다가 지금은 떨어지는 추세"라며 "지난달에는 국제 유가가 올랐던 것이 반영돼 상승했다"고 말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올라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공미숙 심의관은 "물가상승률이 조금씩 내려오고 있다"며 "석유류 가격과 기상 등 여러 불확실성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