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서 심포지엄 "문화를 통한 도시 활성화 고민할 시점"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넘어 문화도시 3.0 구상해야"
2028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 종료를 앞두고 광주가 문화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새 청사진을 구상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심포지엄과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등은 23일 광주시의회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발제자로 나선 강신겸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장은 문화도시 3.0(2025∼2035년)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창했다.

그는 광주비엔날레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창설되면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기반을 닦았던 1995∼2015년을 문화도시 1.0, 아특법을 만들어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고 미디어아트창의도시를 추구한 2015∼2025년을 문화도시 2.0 시대로 규정했다.

강 원장은 "광주가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가 되려면 문화를 통해 도시경제를 활성화하고 아시아 문화 교류 중심이자 글로벌 문화도시로서 브랜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문화도시를 전담 추진할 조직과 거버넌스를 확충하고 아특법 적용과 문화중심도시 조성 기간 연장도 논의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김기곤 광주연구원 연구본부장은 "문화에 대한 공공투자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도시 전반의 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협업을 통해 다른 영역도 확장될 수 있도록 문화도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이 아닌 민간이 주도해야 문화도시로 안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두용 청년문화허브 대표는 "해외나 국내에서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문화 프로젝트 대부분 민간이 주도하고 행정은 지원에 충실했다"며 "관 주도 사업은 전문성·창의성·지속성·독립성·시민 참여를 담보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광주전남 문화기관 종사자·예술인·학계 인사로 구성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지원 포럼'의 학술 행사로, 지원 포럼은 2016년부터 매년 2∼3회 지역 문화 이슈를 공론화해 토론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