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환율로 물가 상방위험 커졌지만 소비회복 완만"
한은도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2.6% 유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3일 기준금리 동결을 의결하면서 여전히 불안한 물가 상황을 근거로 들었다.

금통위 "물가 상방 압력 증대…영향 크지는 않을 듯"
금통위는 이날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위험)가 커졌다"며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는 만큼 긴축 기조를 유지하며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나가는 게 적절하다고 봤다"고 동결 배경을 밝혔다.

하지만 당초 전망한 물가 경로가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 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물가 경로에는 국제유가와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은도 이날 내놓은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2월 전망 당시와 같은 2.6%, 2.2%로 유지했다.

경기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향후 성장 경로는 IT(정보기술) 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에서 2.5%로 0.4%포인트(p) 상향조정됐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인 만큼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따라서 이런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고,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성장세 개선 흐름, 금융안정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 양상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