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불안하고 미국도 인하 신중…성장률 전망치는 올릴 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3일 오전 9시 올해 상반기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오늘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기준금리 11연속 동결 유력
경제 전문가들과 시장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본격적 인하 논의를 하반기로 미룰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4월까지 10차례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모두 동결된 바 있다.

11회 연속 동결이 예상되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여전히 불안한 물가 흐름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3.1%)과 3월(3.1%) 3%대를 유지하다가 4월(2.9%)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과일을 비롯한 농축수산물이 10.6%나 뛰는 등 2%대 안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다.

오늘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기준금리 11연속 동결 유력
김웅 한은 부총재보도 최근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에너지·식품 제외)를 중심으로 둔화하겠지만, 유가 추이나 농산물 가격 강세 기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금리 인하에 신중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태도도 한은 동결에 무게를 싣고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21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물가) 지표 둔화세가 3∼5개월 정도 지속돼야 연말께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미국도 통화정책 전환(피벗)을 서두르지 않는데, 한은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의 위험을 감수하고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려 이미 역대 최대 수준(2.0%p)인 두 나라 간 금리 격차를 더 키우기 어려운 상황이다.

오늘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기준금리 11연속 동결 유력
더구나 1분기 경제성장률(전기 대비 1.3%)이 시장 예상을 웃돌면서 '경기 부진을 고려한 금리 인하' 명분마저 약해졌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회의 직후 발표할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눈높이를 기존 2.1%에서 2%대 중반 부근까지 올려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가 기대보다 좋다면, 그만큼 한은이 서둘러 금리를 낮출 이유도 뚜렷하지 않다는 뜻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오전 11시 10분부터 시작되는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물가 경로와 기준금리 인하 시점 등에 대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오늘 상반기 마지막 금통위…기준금리 11연속 동결 유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