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1차회의보다 의제 확대…尹대통령 제안 국제사회가 받아들인 것"
"AI G3 국가로 도약 발판 기대"…안보실 3차장·과기수석 브리핑
대통령실 "AI 서울 정상회의서 안전·혁신·포용 합의문 추진"
대통령실은 21일∼22일 개최되는'AI 서울 정상회의'의 의제를 안전성·혁신·포용성으로 제시하며 이런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은 20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그동안 2022년 9월 뉴욕 구상, 지난해 파리 이니셔티브와 디지털 권리장전 등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AI 규범 정립 방안에 있어 혁신과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이런 윤 대통령의 제안을 국제사회가 받아들여 이번 AI 정상회의 의제로 포함됐다"고 밝혔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의 후속 회의로 윤 대통령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공동 주재한다.

지난 영국 1차 회의가 AI 위험성에 따른 안전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서울 2차 회의에서는 안전성에 더해 혁신과 포용성으로까지 의제를 확대했다.

왕 차장은 "의제 확대로 AI의 위험성 이외에 긍정적이고 인류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혜택의 측면까지 균형 있게 포괄해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서울 정상회의에는 지난 영국 회의 때와 동일하게 G7 국가 정상들과 싱가포르, 호주 정상이 초청됐다고 왕 차장은 전했다.

유엔과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와 삼성, 네이버, 구글,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 AI 산업 선도 기업들도 함께 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상급 세션에는 이전 회의 참석자를 중심으로 초청해서 중국은 참여하지 않고, 장관급 세션에 중국 측을 초청해서 참여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AI 서울 정상회의서 안전·혁신·포용 합의문 추진"
왕 차장은 "이번 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글로벌 AI 기업 CEO들과 AI 거버넌스에 대해 논의한다"며 "논의를 바탕으로 정상 세션에서 합의문을 채택하고자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합의문 수준과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동 개최국으로서 '서울선언'과 같은 굉장히 훌륭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이번 회의를 우리나라가 AI 분야에서 주요 3개국 안으로 도약하는 발판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브리핑에서 "이번 회의를 바탕으로 확보한 디지털 AI 규범의 글로벌 리더십을 통해 우리나라가 선도국가로서 영향력을 높이고 AI G3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