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겐하임증권 등과 컨소시엄 구성 중
전 LA다저스 구단주 맥코트, 틱톡 인수 추진
미국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틱톡은 미국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으나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를 사 미국 당국으로부터 강제매각 압력을 받고 있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LA다저스 구단 소유주였던 맥코트는 그의 프로젝트 리버티 이니셔티브가 구겐하임 증권 등과 함께 미국 내 틱톡 사업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 중이라고 밝혔다.

프로젝트 리버티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맥코트가 지난 2021년에 설립한 기구다.

맥코트는 틱톡 인수 시 이 플랫폼을 재정비해 개별 사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신원과 데이터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지난달 이른바 '틱톡 강제 매각법'이 제정됐다.

중국의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하는 법으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했다.

틱톡은 이 법의 합헌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연방 소송을 제기했고, 바이트댄스는 미국 사업장을 기한까지 매각할 수 없으며 매각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틱톡 인수에 관심을 표명한 이들은 이전에도 있었다.

스티븐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과 오셰어즈 ETF 회장인 케빈 오리어리 등이다.

틱톡 매각이 실제 성사될지 여부와 관계없이 인수 금액이 얼마가 될지도 관심이다.

세간에서는 틱톡의 기업가치를 200억 달러에서 1천억 달러 이상까지 다양하게 보고 있다.

틱톡은 미국에서 약 1억7천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지만 10대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등의 이유로 논쟁이 빚어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