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원의 헬스노트] "뼈 갉아먹는 흡연…금연하면 골절 위험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인 402만명 16년 추적 관찰…"골절 예방하려면 평생 금연 상태 유지해야"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은 뼈의 양이 줄고 밀도가 약해져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상태가 심한 경우에는 일상적인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문제는 골절이 영구적인 장애나 장기간의 요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노년기에는 골절로 움직이지 못하고 누워만 지내다 욕창이 생길 수 있고, 폐렴 등의 감염질환과 운동 부족으로 인한 장폐색, 혈전에 의한 색전증, 기존 지병의 악화 등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런 골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게 바로 흡연이다.
흡연이 체내 골밀도 감소, 뼈 혈류 감소, 칼슘 흡수 감소 등을 불러 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건 이미 그동안의 여러 연구에서 충분히 입증된 사실이다.
따라서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처음부터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서는 그동안 담배를 피웠던 사람일지라도 금연하면 골절 위험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산병원·삼성서울병원·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2009∼2010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2만8천559명을 2016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전체 연구 대상자의 4년 전(2005∼2006년) 흡연력을 조사한 뒤 비흡연 그룹(304만2천141명), 금연 그룹(19만2천784명), 지속 흡연 그룹(79만3천634명)으로 나눠 골절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흡연 그룹과 금연 그룹의 골절 위험은 지속 흡연 그룹에 견줘 각각 18%, 6%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골절 중에서도 예후가 좋지 않은 척추 골절과 고관절 골절 위험만 보면 금연 그룹의 골절 위험은 지속 흡연자보다 각각 8%, 11% 낮았다.
평생 흡연량도 골절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흡연량이 '20갑년'(매일 1갑씩 20년 또는 2갑씩 10년) 미만인 그룹의 전체적인 골절 위험은 20갑년 이상인 그룹에 견줘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기존의 흡연량과 상관없이 담배를 끊으면 계속 흡연하는 사람보다 골절 위험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국가 빅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이 2020년 미국의학협회(AMA) 학술지 '내과학'(Internal Medicine)에 발표한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연구팀은 당시 남녀 1만552명을 대상으로 1970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한 조사 분석에서 골다공증치료제와 호르몬제제보다 담배를 끊는 게 고관절 골절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 고관절 골절 위험 감소에 대한 금연의 기여 효과는 약 90%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뼈를 강화하는 약물의 고관절 골절 위험 감소 효과는 약 4.8%에 그쳤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형외과 홍재영 교수는 논문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았거나 금연한 사람의 골절 위험이 지속해서 흡연하는 사람보다 낮다는 사실이 일관되게 확인되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다만, 외국의 다른 연구에서는 금연 후 5년 미만에서는 골절 위험에 차이가 없었고 10년이 지나서야 이런 효과가 나타났다"면서 "만약 담배를 끊었다면 장기간에 걸쳐 금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상태가 심한 경우에는 일상적인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문제는 골절이 영구적인 장애나 장기간의 요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노년기에는 골절로 움직이지 못하고 누워만 지내다 욕창이 생길 수 있고, 폐렴 등의 감염질환과 운동 부족으로 인한 장폐색, 혈전에 의한 색전증, 기존 지병의 악화 등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런 골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게 바로 흡연이다.
흡연이 체내 골밀도 감소, 뼈 혈류 감소, 칼슘 흡수 감소 등을 불러 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건 이미 그동안의 여러 연구에서 충분히 입증된 사실이다.
따라서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처음부터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서는 그동안 담배를 피웠던 사람일지라도 금연하면 골절 위험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산병원·삼성서울병원·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2009∼2010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402만8천559명을 2016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전체 연구 대상자의 4년 전(2005∼2006년) 흡연력을 조사한 뒤 비흡연 그룹(304만2천141명), 금연 그룹(19만2천784명), 지속 흡연 그룹(79만3천634명)으로 나눠 골절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흡연 그룹과 금연 그룹의 골절 위험은 지속 흡연 그룹에 견줘 각각 18%, 6%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골절 중에서도 예후가 좋지 않은 척추 골절과 고관절 골절 위험만 보면 금연 그룹의 골절 위험은 지속 흡연자보다 각각 8%, 11% 낮았다.
평생 흡연량도 골절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흡연량이 '20갑년'(매일 1갑씩 20년 또는 2갑씩 10년) 미만인 그룹의 전체적인 골절 위험은 20갑년 이상인 그룹에 견줘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기존의 흡연량과 상관없이 담배를 끊으면 계속 흡연하는 사람보다 골절 위험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국가 빅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이 2020년 미국의학협회(AMA) 학술지 '내과학'(Internal Medicine)에 발표한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연구팀은 당시 남녀 1만552명을 대상으로 1970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한 조사 분석에서 골다공증치료제와 호르몬제제보다 담배를 끊는 게 고관절 골절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 고관절 골절 위험 감소에 대한 금연의 기여 효과는 약 90%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뼈를 강화하는 약물의 고관절 골절 위험 감소 효과는 약 4.8%에 그쳤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형외과 홍재영 교수는 논문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았거나 금연한 사람의 골절 위험이 지속해서 흡연하는 사람보다 낮다는 사실이 일관되게 확인되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다만, 외국의 다른 연구에서는 금연 후 5년 미만에서는 골절 위험에 차이가 없었고 10년이 지나서야 이런 효과가 나타났다"면서 "만약 담배를 끊었다면 장기간에 걸쳐 금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