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현장경영으로 SK하이닉스 본사 방문…HBM 등 AI 메모리 점검
"특정 제품군만 따지지 말고 매크로 상황 파악해 비즈니스 예측 모델 만들어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새해 첫 현장 경영으로 SK하이닉스 본사인 이천캠퍼스를 찾아 반도체 현안을 직접 챙겼다.

최태원 "골 깊고 주기 짧은 반도체 사이클 맞춰 방법론 찾아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4일 이천캠퍼스에서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메모리 분야 성장 동력과 올해 경영 방향을 점검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역사적으로 없었던 최근 시장 상황을 교훈 삼아 골이 깊어지고 주기는 짧아진 사이클의 속도 변화에 맞춰 경영계획을 짜고 비즈니스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달라진 경영환경에 대한 대응을 당부했다.

거시 환경 분석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여러 관점에서 사이클과 비즈니스 예측 모델을 만들어 살펴야 한다"며 "특정 제품군만 따지지 말고 매크로 상황을 파악해야 하고, 마켓도 이제 월드마켓이 아니라 분화된 시장 관점에서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AI 반도체 전략에 대해서는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수요 등 고객 관점에서 투자와 경쟁 상황을 이해하고 고민해야 한다"며 글로벌 시장의 이해관계자를 위한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 접근을 강조했다.

최태원 "골 깊고 주기 짧은 반도체 사이클 맞춰 방법론 찾아야"
SK하이닉스는 작년 말 조직 개편을 통해 'AI 인프라'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산하에 'HBM 비즈니스' 조직을 새롭게 편제하는 등 미래 AI 인프라 시장에서 우위를 유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 회장은 앞서 작년 9월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에 건설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현장을 방문해 공사 현황을 살펴보고 구성원을 격려했다.

용인 클러스터는 현재 본격적인 부지 조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오는 2025년 3월 첫 번째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을 착공하고 2027년 5월 준공해 AI 시대를 이끌어 갈 핵심 기지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지난 연말에도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SK하이닉스 미주법인과 가우스랩스를 방문해 반도체 현안을 점검했다.

신년사를 통해 "장기간 대외 활동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기회를 많이 가지지 못해 아쉬웠다"며 "올해는 '해현경장'(解弦更張·거문고 줄을 고쳐 맨다는 뜻)의 자세로 경영시스템을 점검하고 다듬어 나가자"고 밝히기도 했다.

최 회장은 오는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를 찾아 글로벌 시장의 AI 트렌드를 살필 예정이다.

최 회장의 CES 방문은 작년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다.

SK하이닉스는 CES 2024에서 AI 인프라의 핵심인 초고성능 메모리 제품을 전시하며 기술력을 선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