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산업 탄소중립 실현하려면 염화물 기준 개정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염화물 기준 개선 공청회…"EU 수준으로 연료대체율 높이려면 필요"
국내 시멘트산업이 탄소중립을 이행하려면 시멘트 제품 중 염화물(염소와 염소 이외의 원소와의 화합물) 함량 기준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전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시멘트 및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 개선 공청회'에선 이러한 주장을 포함해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세라믹기술연구원,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관련 학계 및 시멘트 콘크리트산업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공청회에선 탄소중립 이행에 핵심 수단 중 하나인 연료대체율을 유럽연합(EU) 수준으로 높이려면 염화물 함량 KS표준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금까지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연료로 사용해온 유연탄 기반의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면 폐플라스틱 등 가연성 합성수지류로 대체해야 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가연성 합성수지류는 화석연료에 비해 염화물 함량이 다소 높아 사용을 확대하면 시멘트와 콘크리트 내 염화물 함량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가연성 합성수지류 사용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국내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은 일본 기준을 인용해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EU,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매우 엄격하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이나 탄소중립 등 정책적 상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최근 건설업계의 잇단 붕괴 사고로 콘크리트 내 시멘트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콘크리트 내 염화물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시멘트협회 김의철 본부장은 토론에서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서는 국내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핵심 감축기술인 유연탄 연료대체를 대폭 확대해야 하며 배출권거래제 선진국인 EU, 미국, 뉴질랜드, 호주처럼 콘크리트 염화물 규정을 종량제로 서둘러 개정해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를 적기에 이끌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EU의 경우 가연성 합성수지류를 포함한 고형폐기물연료를 활용해 유연탄의 50% 이상을 대체하고 있으며 독일은 대체율이 70% 수준에 이른다.
이날 공청회에선 '시멘트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열원대체와 시멘트 염화물 현황'(한국세라믹기술원 송훈 박사), '국내 시멘트 관련 산업동향 및 염화물 함유량 실태 분석'(한국시멘트신소재연구조합 윤성일 박사), '국내 레미콘 산업동향 및 염화물량 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김영엽 박사), '시멘트 및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 개선 연구'(한국콘크리트학회 권성준 교수)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뤄졌다.
이어진 토론에는 시멘트-콘크리트 그린뉴딜위원회 공동위원장 김진만 공주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상철 한서대 교수, 김의철 시멘트협회 본부장, 박민용 삼표산업 상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염화물 기준 개선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연합뉴스
6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전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시멘트 및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 개선 공청회'에선 이러한 주장을 포함해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세라믹기술연구원,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관련 학계 및 시멘트 콘크리트산업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공청회에선 탄소중립 이행에 핵심 수단 중 하나인 연료대체율을 유럽연합(EU) 수준으로 높이려면 염화물 함량 KS표준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금까지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연료로 사용해온 유연탄 기반의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면 폐플라스틱 등 가연성 합성수지류로 대체해야 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가연성 합성수지류는 화석연료에 비해 염화물 함량이 다소 높아 사용을 확대하면 시멘트와 콘크리트 내 염화물 함량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가연성 합성수지류 사용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국내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은 일본 기준을 인용해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EU,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매우 엄격하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이나 탄소중립 등 정책적 상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최근 건설업계의 잇단 붕괴 사고로 콘크리트 내 시멘트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콘크리트 내 염화물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시멘트협회 김의철 본부장은 토론에서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서는 국내 시멘트산업의 온실가스 핵심 감축기술인 유연탄 연료대체를 대폭 확대해야 하며 배출권거래제 선진국인 EU, 미국, 뉴질랜드, 호주처럼 콘크리트 염화물 규정을 종량제로 서둘러 개정해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를 적기에 이끌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EU의 경우 가연성 합성수지류를 포함한 고형폐기물연료를 활용해 유연탄의 50% 이상을 대체하고 있으며 독일은 대체율이 70% 수준에 이른다.
이날 공청회에선 '시멘트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열원대체와 시멘트 염화물 현황'(한국세라믹기술원 송훈 박사), '국내 시멘트 관련 산업동향 및 염화물 함유량 실태 분석'(한국시멘트신소재연구조합 윤성일 박사), '국내 레미콘 산업동향 및 염화물량 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김영엽 박사), '시멘트 및 콘크리트 염화물 기준 개선 연구'(한국콘크리트학회 권성준 교수)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뤄졌다.
이어진 토론에는 시멘트-콘크리트 그린뉴딜위원회 공동위원장 김진만 공주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상철 한서대 교수, 김의철 시멘트협회 본부장, 박민용 삼표산업 상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염화물 기준 개선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