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 먹고 산다…1인 가구부터 '직격탄'
올해 3분기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소득이 가구원수별 가구 가운데 1년 전보다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에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1인 가구는 옷과 외식, 숙박 등 생활에 필수적이지 않은 소비부터 줄였다.

26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3분기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78만3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보다 2.4% 감소했다.

반면 2인 가구는 6.9% 늘었고, 3인과 4인 이상 가구도 각각 3.1%, 10.6% 늘었다. 전체 평균도 3.4% 증가했다.

1인 가구는 근로소득이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2인(3.8%), 3인(7.8%), 4인 이상(8.2%) 가구와 비교해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1인 가구에서 사업소득과 재산소득도 15.6%씩 급감했다.

소득에서 세금, 연금,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도 1인 가구만 감소했다.

1인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217만5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9% 줄었다.

2인(7.0%), 3인(3.0%), 4인 이상 가구(10.0%)에서는 늘었다.

소득이 줄어든 1인 가구는 생활에 꼭 필요하지는 않은 소비부터 줄였다.

3분기 1인 가구의 소비 지출은 작년 동기보다 1.3% 증가했다. 2021년 1분기(1.0%) 이후 가장 증가율이 낮다.

의류·신발이 7.9% 감소해 2020년 4분기(-19.0%)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옷과 신발값이 크게 뛴 영향이 컸다.

3분기 의류·신발의 물가지수는 작년 동기 대비 7.8% 올라 1992년 1분기(8.0%) 이후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외식비와 호텔 숙박료 등이 포함된 음식·숙박 지출도 3분기 0.1% 줄었다. 11개 분기 만에 처음 감소 전환이다.

반대로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는 3.8% 늘었다. 2021년 4분기(3.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면서 필수용품 지출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공공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거·수도·광열 지출도 11.7% 뛰었다.

이 가운데 월세 등 임차로 인한 비용을 뜻하는 실제 주거비도 8.4% 늘었다.

1인 가구는 20∼30대 미혼 직장인부터 사별한 독거노인까지 유형이 다양하다.

통계청은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서 2021년 기준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3.4%이며 2050년 39.6%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인구 고령화와 맞물려 노인 1인 가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봤다.

1인 가구 가운데 20대 이하 비중은 2005년 22.8%였으나 2050년에는 7.5%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2005년 17.3%였던 70세 이상의 비중은 2050년 42.9%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