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년 여정 끝내고 본래 자리로…조선왕조실록, 오대산 품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12일 개관…오대산 사고본 의궤도 함께 전시
'기록유산의 정수' 1천207점 유물 관리…상설전시실부터 먼저 공개 조선을 세운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조선왕조실록'은 같은 책을 여러 권 찍어 보관했다.
초반에는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 사고(史庫) 4곳을 운영했으나, 임진왜란(1592∼1598)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는 모두 소실됐다.
전쟁이 끝난 뒤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깊은 산속에 사고를 설치한 건 이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산세가 다섯 개의 연꽃잎에 싸인 듯하다는 강원 오대산의 사고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의 주요 행사를 정리한 의궤(儀軌), 왕실의 족보 등과 같은 주요한 기록물을 보관했다.
오대산 사고에 있던 실록과 의궤가 기나긴 '타향살이'를 끝내고 제자리로 돌아온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이 일본으로 반출된 지 약 110년 만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이달 12일 정식 개관한다고 9일 밝혔다.
새로 문을 여는 실록박물관은 오늘날의 오대산 사고와도 같다.
일본에서 돌아온 이후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해 온 오대산 사고본 실록 75책과 의궤 82책을 포함해 관련 유물 1천207점을 보관·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박물관은 상설 전시를 통해 오대산 사고에 보관해온 조선왕조 기록을 소개한다.
총 3부로 구성된 전시는 조선시대에 왕실 기록물을 어떻게 만들고 보관했는지 설명하며 시작한다.
'실록각'(實錄閣), '선원보각'(璿源譜閣) 등 지방 사고에 걸었던 현판도 볼 수 있다.
오대산 사고본의 주요 특징을 다룬 부분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관람객들은 1913년 도쿄제국대학으로 반출된 이후 1932년, 2006년, 2017년 등 세 차례에 걸쳐 돌아온 오대산 사고본 '성종실록', '중종실록', '선조실록' 등을 볼 수 있다.
이 중 '성종실록'과 '중종실록'은 글자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첨부한 부분이 고스란히 남아있는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정족산 사고본과 비교하면서 조선시대 실록 편찬의 과정도 확인할 수 있다.
상설 전시에서는 조선 왕실의 '행사 보고서'인 다양한 의궤도 다룬다.
의궤는 왕실 행사나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 끝난 뒤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자료로, 2011년 일본에서 환수한 오대산 사고본 의궤는 모두 19세기 후반 이후 제작된 것이다.
1906년 경운궁을 중건한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경운궁중건도감의궤', 철종(재위 1849∼1863)이 승하한 뒤 국장과 관련한 절차 등을 정리한 '철종국장도감의궤' 등이 한자리에 모인다.
의궤에 찍었던 도장인 '유서지보'(諭書之寶) 등 관련 유물과 자료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실록박물관은 실록 원본을 언제든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며 "영상, 그림, 사진, 지도 등 다양한 자료로 오대산 사고본을 경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람객들은 당분간 상설전시실 중심으로 박물관을 이용할 수 있다.
박물관은 기존에 월정사 성보박물관이 운영하던 '왕조·실록의궤박물관' 일부를 새로 단장한 뒤 상설전시실부터 우선 공개했다.
엄밀히 따지면 부분 개관인 셈이다.
지난 3월 공개된 '국립조선왕조실록 전시관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박물관은 2025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건축·설비 등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올해는 약 13억원을 들여 유물 전시 공간에 설치된 소화설비를 스프링클러에서 소화 가스로 바꿨고, 전시장 전체에 항온·항습 설비와 공조 시설을 정비했다.
내년에는 기획전시실, 영상전시실, 수장고 등을 보수·정비할 예정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내년에 약 32억원을 투입해 2단계 (리모델링) 사업에 나설 계획"이라며 "향후 임산부 관련 편의시설, 임시 수장고 등 시설 증축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물관과 오대산 사고 일대에서는 개관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오는 10일에는 실록과 의궤를 오대산으로 옮기는 이운 행렬을 재연하는 행사가, 11일에는 오대산 사고본의 귀향을 알리는 고유제와 박물관 개관식이 각각 진행된다.
박물관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은 문을 닫는다.
전시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볼 수 있다.
내년 5∼10월에는 관람 시간을 오후 5시 30분까지 연장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오대산 사고본의 귀환을 생각하면서 아픈 역사의 상처를 씻어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이 회복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록유산의 정수' 1천207점 유물 관리…상설전시실부터 먼저 공개 조선을 세운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조선왕조실록'은 같은 책을 여러 권 찍어 보관했다.
초반에는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 사고(史庫) 4곳을 운영했으나, 임진왜란(1592∼1598)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는 모두 소실됐다.
전쟁이 끝난 뒤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깊은 산속에 사고를 설치한 건 이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산세가 다섯 개의 연꽃잎에 싸인 듯하다는 강원 오대산의 사고에는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의 주요 행사를 정리한 의궤(儀軌), 왕실의 족보 등과 같은 주요한 기록물을 보관했다.
오대산 사고에 있던 실록과 의궤가 기나긴 '타향살이'를 끝내고 제자리로 돌아온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이 일본으로 반출된 지 약 110년 만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이달 12일 정식 개관한다고 9일 밝혔다.
새로 문을 여는 실록박물관은 오늘날의 오대산 사고와도 같다.
일본에서 돌아온 이후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해 온 오대산 사고본 실록 75책과 의궤 82책을 포함해 관련 유물 1천207점을 보관·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박물관은 상설 전시를 통해 오대산 사고에 보관해온 조선왕조 기록을 소개한다.
총 3부로 구성된 전시는 조선시대에 왕실 기록물을 어떻게 만들고 보관했는지 설명하며 시작한다.
'실록각'(實錄閣), '선원보각'(璿源譜閣) 등 지방 사고에 걸었던 현판도 볼 수 있다.
오대산 사고본의 주요 특징을 다룬 부분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관람객들은 1913년 도쿄제국대학으로 반출된 이후 1932년, 2006년, 2017년 등 세 차례에 걸쳐 돌아온 오대산 사고본 '성종실록', '중종실록', '선조실록' 등을 볼 수 있다.
이 중 '성종실록'과 '중종실록'은 글자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첨부한 부분이 고스란히 남아있는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정족산 사고본과 비교하면서 조선시대 실록 편찬의 과정도 확인할 수 있다.
상설 전시에서는 조선 왕실의 '행사 보고서'인 다양한 의궤도 다룬다.
의궤는 왕실 행사나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 끝난 뒤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자료로, 2011년 일본에서 환수한 오대산 사고본 의궤는 모두 19세기 후반 이후 제작된 것이다.
1906년 경운궁을 중건한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경운궁중건도감의궤', 철종(재위 1849∼1863)이 승하한 뒤 국장과 관련한 절차 등을 정리한 '철종국장도감의궤' 등이 한자리에 모인다.
의궤에 찍었던 도장인 '유서지보'(諭書之寶) 등 관련 유물과 자료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실록박물관은 실록 원본을 언제든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며 "영상, 그림, 사진, 지도 등 다양한 자료로 오대산 사고본을 경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람객들은 당분간 상설전시실 중심으로 박물관을 이용할 수 있다.
박물관은 기존에 월정사 성보박물관이 운영하던 '왕조·실록의궤박물관' 일부를 새로 단장한 뒤 상설전시실부터 우선 공개했다.
엄밀히 따지면 부분 개관인 셈이다.
지난 3월 공개된 '국립조선왕조실록 전시관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박물관은 2025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건축·설비 등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올해는 약 13억원을 들여 유물 전시 공간에 설치된 소화설비를 스프링클러에서 소화 가스로 바꿨고, 전시장 전체에 항온·항습 설비와 공조 시설을 정비했다.
내년에는 기획전시실, 영상전시실, 수장고 등을 보수·정비할 예정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내년에 약 32억원을 투입해 2단계 (리모델링) 사업에 나설 계획"이라며 "향후 임산부 관련 편의시설, 임시 수장고 등 시설 증축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물관과 오대산 사고 일대에서는 개관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오는 10일에는 실록과 의궤를 오대산으로 옮기는 이운 행렬을 재연하는 행사가, 11일에는 오대산 사고본의 귀향을 알리는 고유제와 박물관 개관식이 각각 진행된다.
박물관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매주 화요일은 문을 닫는다.
전시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50분까지 볼 수 있다.
내년 5∼10월에는 관람 시간을 오후 5시 30분까지 연장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오대산 사고본의 귀환을 생각하면서 아픈 역사의 상처를 씻어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이 회복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