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명호 "폐쇄 없었다면 한수원 재무 상황 나아졌을 것"
"한수원,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로 수익 1.5조원 상실"
문재인 정부 시절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조기 폐쇄됨에 따라 이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약 1조5천억원 규모의 전기 판매 수익을 상실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권명호 의원은 17일 한수원에서 받은 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월성 1호기가 조기 폐쇄 이후인 2018년 7월부터 설계수명 종료일인 작년 11월 20일까지 실제로 계속 가동됐다고 가정할 경우 한수원이 한국전력에 전기를 팔아 번 돈은 1조4천906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추정 수익은 한국전력이 공개하는 원자력 구입단가와 월성 1호기의 예상 발전량 등 토대로 집계됐다.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에 따른 한전의 추정 손실 규모도 컸다.

권 의원에 따르면 한전이 월성 1호기에서 생산된 전력 대신에 동일한 발전량에 해당하는 LNG를 구매했다고 가정하면 그 비용은 3조6천350억원에 달했다.

이는 한전이 월성 원전의 전력을 사들이는 것보다 2조1천443억원 더 많은 금액이다.

권 의원은 "전임 정권에서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하지 않았다면 한수원과 한전의 재무 상황이 조금 나아졌을 것이고 전기요금 인상 요인도 줄어들어 국민 전기요금 부담을 덜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983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월성 1호기는 고리 1호기에 이은 국내 두 번째 원전으로, 2012년 설계수명(30년)이 만료돼 가동이 중단됐다가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2015년 10년 연장운전 계속운전 허가를 받고 발전을 재개했다.

그러다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2018년 6월 한수원 이사회에서 조기 폐쇄가 결정됐고, 2019년 12월 원안위에서 영구정지가 확정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