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추석 연휴 앞두고 주의 당부
"무인매장 절도범 절반은 10대…61%는 새벽 시간대 발생"
국내 무인매장 절도범 중 절반은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 피해가 가장 많았다.

보안업체 에스원은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고객처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무인매장 절도범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 비중이 52%로 가장 컸다.

이어 20대 36%, 30대 7%, 40대 5% 등의 순이었다.

에스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무인매장 절도 범죄의 가장 큰 특징은 미성년 절도범이 많다는 것"이라며 "최근 10대 사이에서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절도 범행 요령까지 공유하는 등 하나의 '놀이'처럼 번지고 있어 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무인매장 절도범 절반은 10대…61%는 새벽 시간대 발생"
요일별 범죄 발생 건수는 일요일이 24%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범죄가 발생하는 시간대는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의 비중이 전체 건수의 61%로 가장 컸고, 오전 6시부터 정오까지가 27%로 그 뒤를 이었다.

에스원 관계자는 "무인매장 점주는 주말 또는 연휴 기간 절도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첨단 보안솔루션을 설치하거나 자주 매장을 둘러보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무인매장 피해 품목의 91%는 현금이었다.

절도범들은 망치, 드라이버 등으로 키오스크를 파손해 현금을 빼 간 것으로 나타났다.

키오스크나 동전교환기를 통째로 들고 달아난 경우도 있었다.

업종별 절도 발생률은 무인 빨래방과 무인 사진관이 각각 33%로 가장 높았고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와 인형 뽑기방이 각각 17%였다.

한편 최근 무인매장을 대상으로 한 절도 범죄뿐 아니라 취객이 매장에 들어와 난동을 부리는 등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에스원은 무인매장 전용 솔루션 '에스원 안심24'를 출시했다.

에스원은 이 솔루션을 이용하면 원격 경고 방송, 긴급 출동 등을 통해 범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