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토학살 100년 지났지만 희생자 명단 파악 안돼…부끄러운 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개 역사기관 공동학술회의…"학살은 식민지 제노사이드, 日 국가 책임 분명"
1923년 일본 간토(關東)대지진 직후 많은 조선인이 학살됐지만, 아직 희생자 명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성주현 청암대 연구교수는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관동(간토)대지진 조선인·중국인 학살 100년 : 진실·책임·기억' 학술회의에서 희생자 명부 현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성 교수는 "올해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주년이기도 하지만, 학살된 6천여 명의 조선인 명단을 제대로 발굴하지 못하고 지낸 지도 100주년을 맞았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는 일제 강점으로 인한 식민지 상황이었기에 진상 규명과 명부 파악은 불가능했지만, 해방 후에도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부끄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성 교수는 당시 신문, 추도비 등을 분석해 확인한 희생자 명단 일부도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재일 사학자 고(故) 강덕상 씨와 금병동 씨가 1963년 펴낸 '현대사자료'에서 조선인 희생자 32명이 확인된다.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에서는 21명의 명단을 파악할 수 있다.
성 교수는 "문헌, 증언, 추도비 등에서 확인한 조선인 희생자는 중복된 사례를 모두 포함해 316명"이라며 "기존 자료와 새로 발굴된 자료 등을 통해 꾸준히 연구가 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많은 희생을 불러온 학살 사건의 국가적 책임이 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재승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간토대학살을 '식민지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라고 언급하며 "일본 정부의 국가 책임은 분명히 존재한다"고 짚었다.
이 교수는 "일본의 군대와 경찰은 적극적으로 조선인을 학살했고, 자경단 활동을 지원하고, 심지어 외부 탈출을 막고 구출한다는 미명 아래 수용소로 나포해 살해하거나 자경단에게 배정해 학살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발적 자연적 재난 앞에서 발생했지만, 일본 근대사에서 축적된 조선인에 대한 혐오 감정이 조선인을 상대로 폭력적으로 분출된 것"이라고 학살의 원인을 분석했다.
동북아역사재단,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공동으로 연 학술회의에는 중국과 일본 연구자도 참여해 학살 사건의 의미와 과제를 논의했다.
가토 게이키(加藤圭木) 히토쓰바시대 교수는 "현재 일본 사회는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 역사를 정당화하고 피해자를 멸시하고 있다"며 "비판적 인식을 확립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토대지진은 100년 전인 1923년 9월 1일 일어났다.
당시 수도 도쿄와 요코하마 등 간토 지방을 휩쓴 지진으로 10만여 명이 사망하고, 200만여 명이 집을 잃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자연재해로 인한 큰 혼란 속에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라거나 '방화한다' 같은 유언비어가 퍼져 나가면서 많은 조선인과 중국인이 살해됐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였던 '독립신문'은 1923년 12월 5일 자 신문에서 지진 이후 벌어진 조선인 학살로 인한 피해자가 6천661명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연합뉴스
성주현 청암대 연구교수는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관동(간토)대지진 조선인·중국인 학살 100년 : 진실·책임·기억' 학술회의에서 희생자 명부 현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성 교수는 "올해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주년이기도 하지만, 학살된 6천여 명의 조선인 명단을 제대로 발굴하지 못하고 지낸 지도 100주년을 맞았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는 일제 강점으로 인한 식민지 상황이었기에 진상 규명과 명부 파악은 불가능했지만, 해방 후에도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부끄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성 교수는 당시 신문, 추도비 등을 분석해 확인한 희생자 명단 일부도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재일 사학자 고(故) 강덕상 씨와 금병동 씨가 1963년 펴낸 '현대사자료'에서 조선인 희생자 32명이 확인된다.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에서는 21명의 명단을 파악할 수 있다.
성 교수는 "문헌, 증언, 추도비 등에서 확인한 조선인 희생자는 중복된 사례를 모두 포함해 316명"이라며 "기존 자료와 새로 발굴된 자료 등을 통해 꾸준히 연구가 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많은 희생을 불러온 학살 사건의 국가적 책임이 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재승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간토대학살을 '식민지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라고 언급하며 "일본 정부의 국가 책임은 분명히 존재한다"고 짚었다.
이 교수는 "일본의 군대와 경찰은 적극적으로 조선인을 학살했고, 자경단 활동을 지원하고, 심지어 외부 탈출을 막고 구출한다는 미명 아래 수용소로 나포해 살해하거나 자경단에게 배정해 학살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발적 자연적 재난 앞에서 발생했지만, 일본 근대사에서 축적된 조선인에 대한 혐오 감정이 조선인을 상대로 폭력적으로 분출된 것"이라고 학살의 원인을 분석했다.
동북아역사재단,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공동으로 연 학술회의에는 중국과 일본 연구자도 참여해 학살 사건의 의미와 과제를 논의했다.
가토 게이키(加藤圭木) 히토쓰바시대 교수는 "현재 일본 사회는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 역사를 정당화하고 피해자를 멸시하고 있다"며 "비판적 인식을 확립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토대지진은 100년 전인 1923년 9월 1일 일어났다.
당시 수도 도쿄와 요코하마 등 간토 지방을 휩쓴 지진으로 10만여 명이 사망하고, 200만여 명이 집을 잃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자연재해로 인한 큰 혼란 속에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라거나 '방화한다' 같은 유언비어가 퍼져 나가면서 많은 조선인과 중국인이 살해됐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였던 '독립신문'은 1923년 12월 5일 자 신문에서 지진 이후 벌어진 조선인 학살로 인한 피해자가 6천661명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