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위력' 예보에 긴장…인명피해 최소화·잼버리 참가자 안전에 초점

대통령실은 9일 제6호 태풍 '카눈'에 대비해 24시간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태풍 위력이 역대급이라는 보고를 받고 여름휴가 후 공식 복귀 첫날인 이날 철야 근무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태풍이 10일 새벽 경남 통영 해안을 통해 상륙한 후 느린 속도로 한반도를 관통,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동해안을 따라 북상할 것으로 예상됐던 태풍의 진로가 바뀌어 수도권을 관통할 것 같다"며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용산 대통령실 지하 벙커에서 긴급 점검 회의를 주재한 데 이어 이날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등으로부터 태풍 이동 경로와 대비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 받을 예정이다.

무엇보다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험 지역에 대한 선제적인 통제와 신속한 대피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중대본을 중심으로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드는 지방자치단체와 소방 등 관계 당국의 대응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챙길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은 특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 참여한 각국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일정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운영 지원을 거듭 독려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잼버리 참가자들은 새만금 야영지를 떠나 전국 8개 시도로 분산 배치됐으며, 각 지자체 등이 마련한 현장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윤 대통령이 이날 태풍 대비 상황을 점검하며 용산 대통령실에서 밤샘 근무할 가능성도 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남동 관저로 이동하더라도 철야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가 우려됐던 지난해 9월 초 집무실에서 24시간 비상 대기한 뒤 구내식당에서 참모들과 아침 식사를 한 적이 있다.

대통령실, 태풍 대비 24시간 비상근무 돌입…尹대통령도 철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