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경상수지 7조 6,760억원…두 달 연속 흑자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고 해외에서 받은 배당도 늘면서 6월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경상수지는 58억7천만달러(약 7조 6,75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4월(-7억9천만달러) 적자 이후 5월(19억3천만달러)에 이어 2개월째 흑자 기조가 유지된 것이다.

다만 올해 들어 6월까지 상반기 누적으로 경상수지는 24억4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248억7천만달러)과 비교해 약 90%나 급감했다.
6월 경상수지 7조 6,760억원…두 달 연속 흑자
6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나눠보면, 상품수지(39억8천만달러)가 4월 이후 3개월 연속 흑자였다.

수출(541억4천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3%(55억5천만달러) 줄었다.

특히 석유제품(통관 기준 -40.5%), 반도체(-28.0%), 화학공업 제품(-12.8%), 철강제품(-3.2%)이 부진했고 지역별로는 중국(-19.0%), 동남아(-17.9%), 일본(-3.7%), 미국(-1.8%)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다만 승용차 수출액은 1년 전보다 60.7% 급증했다.

수입(501억5천만달러)은 10.2%(56억9천만달러) 줄었는데, 감소액이나 감소율이 모두 수출을 웃돌았다.

특히 에너지 수입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작년 같은 달보다 18.5% 급감했다.

원자재 중 석탄, 원유, 석유제품 수입액 감소율은 각각 45.3%, 28.6%, 19.7%에 이른다.

반도체(-19.2%)와 반도체 제조장비(-0.4%) 등 자본재 수입도 9.1% 줄었지만, 승용차(75.0%) 등 소비재 수입은 6.8%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6억1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5억9천만달러)이나 직전 5월(-9억1천만달러)보다 적자 규모가 눈에 띄게 커졌다.

세부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방역이 완화되면서 여행수지(-12억8천만달러) 적자 폭이 1년 전(-6억5천만달러)의 거의 두 배에 이르렀고, 운송수지 흑자(2천만달러)는 작년 같은 달(13억달러)보다 12억달러 이상 급감했다.

반대로 본원소득수지(48억5천만달러)는 5월(14억2천만달러)이나 작년 6월(30억8천만달러)보다 더 많은 흑자를 냈다.

해외 현지법인 등으로부터 배당이 늘면서 배당소득 수지 흑자 규모가 한 달 사이 9억달러에서 42억3천만달러로 급증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6월 경상수지 7조 6,760억원…두 달 연속 흑자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월 중 47억7천만달러 불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17억2천만달러 감소했지만,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25억6천만달러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각 61억2천만달러, 36억5천만달러 증가했다.특히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 증가액은 작년 5월 이후 가장 많았다.


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